오는 14일 열리는 한·중 정상회담에서 공동성명을 내기 어려워지면서 베이징 외교가에서도 사드(THAAD) 문제가 계속 발목을 잡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하지만 중국은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는 수준이어서 양국 관계의 큰 걸림돌은 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베이징 소식통은 11일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을 앞두고 사드 문제와 관련해 양국의 의견조율이 안 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는 중국 측의 일관된 입장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사드 문제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체면을 손상시킨 이슈라는 중국 측 인식이 강한 데다, 중국 정부가 그동안 국내외적으로 강력하게 성토를 해온 사안이다. 따라서 한·중 관계 개선을 이유로 갑자기 태도를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제기돼 왔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 9일 문 대통령 방중을 소개하는 해외판 기사에서 “중·한 관계가 회복된다고 사드 문제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문가 발언을 전하기도 했다.
11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한·중 고위급 싱크탱크 포럼’에서도 중국 측 인사들은 사드 문제를 거론했다. 웨이웨이 중국인민외교학회 부회장은 “사드 문제는 여전히 중·한 관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사드 문제를 철저히 해결하지 못하면 완전한 관계 개선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위훙쥔 차하얼학회 수석연구원도 사드 문제에 대해 “한국이 자국의 이익을 생각할 때 다른 나라의 이익을 함께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포럼에 참석한 신상진 광운대 교수는 “중국이 지나치게 자국의 이익을 강조하면 한국에서 중국에 대한 호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이 관영 매체 등을 통해 사드 문제를 계속 거론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한국과의 관계에 있어 사드에만 목매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드가 미군의 무기체계이기 때문에 이미 배치된 상태에선 한국의 역할은 지극히 제한적인 걸 중국도 알기 때문이다.
때문에 베이징의 다른 소식통은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사드를 아예 거론하지 않고 가기에는 국내적으로 부담이 되겠지만 정상회담이 끝나면 사드 문제는 점차 수그러들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