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 “다단계 사기, 거래 인정 안된다”
블록체인 분리 통한 파생화폐
‘하드포크’ 늦추자 의혹 불거져
美 선물 시장 20% 이상 뛰어
서킷 브레이커 2번이나 발동
암호화폐(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사기설’에 휩싸였다. 비트코인 가격이 뛰는데 호재로 작용하는 ‘하드포크’를 둘러싸고 의혹이 불거졌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비트코인을 ‘폰지사기’(다단계 금융사기)에 빗댔다. 미국 민간회사가 운영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는 비트코인 선물거래를 시작했다. 하지만 거품·투기 우려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비트코인 플래티넘’ 개발진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은 11일 트위터에 사기 의혹을 부인하는 글을 게시했다(사진). 전날 SNS를 중심으로 사기 의혹이 불거진 데 따른 대응 조치다. 비트코인 플래티넘은 12∼13일에 비트코인으로부터의 하드포크를 예고했지만, 10일 치명적 결함을 발견해 하드포크 작업을 미룬다고 공지했다. 그 직후 트위터 계정에 한글로 작성된 글이 잇따라 올라오며 사기 가능성이 제기됐다. 한국의 고등학생이 사기극을 주도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비트코인 플래티넘 측은 한국 고등학생 개발자의 존재를 인정했지만, 사기 가능성을 부인했다.
사기 논란의 뿌리는 하드포크에 있다. 비트코인 같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기능 개선, 문제점 수정 등을 목적으로 블록체인을 분할(하드포크)해 새로운 파생화폐를 만들 수 있다. 비트코인에서 비트코인캐시(8월 1일), 비트코인골드(10월 24일)가 분리됐었다. 하드포크를 할 때 기존 암호화폐 보유자에게 신규 파생화폐를 주기 때문에 일종의 배당 역할도 한다. 가격 상승을 유발하기도 한다. 다만 하드포크는 발생빈도나 일자, 거래소별 파생화폐 지급 여부 등을 예측하기 어려워 암호화폐의 리스크로 거론되기도 한다.
불확실한 정보에도 가격이 오르내리는 등 변동성이 커지자 정부는 암호화폐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주무부처인 법무부는 오는 15일 첫 회의를 연다. 법무부 관계자는 “거래 전면금지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 당국은 비트코인을 금융거래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최종구 위원장은 “절대 거래소 인가나 선물거래 도입은 안 한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어 “가상통화 가격이 오르는 것은 어디까지나 다음 사람이 내가 원하는 가격에 이를 받아줄 거라는 기대감 때문”이라며 “이는 다분히 ‘폰지’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폰지는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다단계 금융사기를 말한다.
한편 10일(현지시간) CBOE에서 거래된 비트코인 선물에는 투자자가 몰렸다. 두 차례나 가격이 20% 이상 뛰어 ‘서킷 브레이커’(거래 일시 정지)를 적용하기도 했다.
홍석호 안규영 기자 wi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