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몇 방울로 난소에 생긴 종양이 암인지 단순 양성 혹인지 알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용범 교수팀은 혈액 검사만으로도 암세포를 검출하고 난소 종양의 악성 여부를 감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온코타깃’에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난소암은 유방암, 자궁경부암과 함께 3대 여성암 중 하나로, 최근에는 폐경기 여성뿐 아니라 20, 30대 젊은 환자들 사이에서도 발생률이 급증하는 추세다. 여성암 중 가장 낮은 5년 생존율을 보일만큼 치료가 힘들다. 특별한 자각 증상이 없어 3기 이상에서 암을 발견할 확률이 80%에 육박하는 탓이다. 하지만 초기에 발견할 경우 완치될 가능성이 높아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난소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우선 수술 전 검사를 통해 양성인지 악성인지 감별해야 한다. 문제는 직접 종양 조직을 떼내 검사하는 것 외에는 감별 진단 정확도를 높이는 검사가 거의 전무하다는 것이다.
이에 연구팀은 2015~16년 난소 종양을 진단받고 수술을 앞두고 있는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카이스트 혈중암세포연구단에서 개발한 새로운 검출기를 이용해 5ml의 소량 혈액에서 암세포를 검출한 뒤 검사 결과를 기존 검사법들이 도출한 결과와 비교했다.
그 결과 기존 혈액 검사나 감별진단법이 민감도 16.7~50%, 특히도 39~65.9%의 정확도(영상검사 민감도 83.3%, 특이도 53.7%)를 갖는데 비해, 혈중 암세포 검출은 특히 1기 병기의 조기 난소암 진단에 있어 100%의 민감도와 55.8%의 특이도를 보였다.
민감도는 질병이 있는 사람을 질환자로 판별하는 지표다. 특이도는 질환이 없는 사람을 비질환자로 판별하는 지표다. 혈액 중 암세포 검출 민감도가 100%라는 것은 질병이 있는데, 진단하지 못하는 사례가 한 건도 없을 만큼 정확하다는 의미다. 즉 기존 혈액 검사나 CT, MRI 같은 영상검사 보다 더 정확한 검사라는 얘기다.
김 교수는 “향후 난소암의 조기 진단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난소암 생존율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조기 발견 어려운 난소암, 피 몇방울로 알아낸다
입력 2017-12-11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