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 방값’ 논란으로 입방아에 올랐던 평창의 일부 숙박업소들이 방값을 낮추고 있는 추세다. SBS 뉴스는 11일 “강원도 일부 숙박업소들이 평창 올림픽 기간에 터무니없는 방값을 책정해 방을 빌리겠다는 손님이 줄어들자 결국 값을 내리고 있다”라고 보도했다.
SBS에 따르면 강릉시 경포 주변의 한 모텔 업소는 올림픽 기간에 하루 숙박비로 30만원을 넘게 내야만 예약할 수 있었던 작은방을 최근 20만원으로 낮췄다. 인근의 한 펜션 또한 내년 2월 동안 침대 하나에 취사도 되는 방은 20만원, 복층 구조에 침대가 2개인 방은 25만원을 받기로 했다.
‘바가지요금’을 받던 일부 숙박업소들이 두세 달 전보다 가격을 대폭 인하한 이유는 올림픽 대목에 폭리를 취하려 한다는 비난이 커지며 예약 문의가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경포 주변의 한 모텔 주인은 “과했다는 생각은 기본적으로 누구나 가지고 있다. 욕심만 잔뜩 부린 거다. 낮춰서라도 편안하게 손님 받고 싶은 마음이 많다”라고 밝혔다.
강릉시의 ‘바가지 숙박 요금’ 근절 노력도 가격 인하에 한몫을 했다. 강릉시는 6일 ‘평창올림픽 대비 바가지요금 숙박업소 및 공동주택 불법 용도변경 단속 TF팀’을 구성해 운영에 들어갔다. TF팀은 ‘강릉시 공실정보 안내 시스템’(stay.gn.go.kr)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과도한 요금을 요구하는 숙박업소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강력 단속하기로 했다.
또 바가지 업소는 관할 세무서에 해당 내용을 통보해 세무조사를 의뢰하는 등 제도적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강력한 행정 처분을 총동원한다. 올림픽 기간 동안 공동주택을 숙박업소로 활용하는 불법행위에 대해서도 단속한다.
강릉시는 ‘공실정보 안내 시스템’을 적극 홍보해 시스템 등록 업소를 통한 적정 요금 예약을 독려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는 강릉시 전체 숙박업소 1022개 가운데 713개 업소가 등록돼 있으며 실시간으로 숙박 가능 여부와 요금 정보를 제공한다.
천정부지로 솟구치던 숙박요금은 최근 강릉시와 업소들의 자정 노력으로 안정되는 중이다. 손정호 대한숙박업중앙회 강릉시지부장은 지난 30일 기자회견을 열어 올림픽 기간 중 30만원에 계약된 객실에 대해 반값만 받기로 공언했다. ‘숙박료 반값 받기’ 행렬에는 관내 업소 3곳이 동참하는 등 다른 업소들의 참여도 이어지고 있다.
최명희 강릉시장은 “잘못 끼워진 단추였지만 더 늦기 전에 바로잡지 않으면 강릉의 미래는 없다는 절박감으로 숙박요금 안정화에 나섰다”라며 “올림픽 이후에도 다시 찾고 싶은 강릉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이현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