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은 60대 이상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을 수 있는 증상 중 하나다. 허리 통증이 발생하면 허리디스크를 먼저 떠올리게 되지만, 증상에 따라 다른 척추질환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척추관협착증으로, 실제 이 질환은 6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 허리디스크만큼이나 발병 빈도가 높다.
척추관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말하는데, 나이가 들면서 주변의 인대가 두꺼워지고 불필요한 가시 뼈가 자라나는 탓에 점차 폭이 좁아지게 된다. 결국 척추관 안쪽의 신경이 눌려 다양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주된 증상은 허리와 다리 통증이지만, 그 중 다리 통증이 더 심한 환자들이 많다. 특히 평소 자세에 따라 통증의 강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보통 허리를 뒤로 젖히면 통증이 심해지고 반대로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은 무의식적으로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며, 동반되는 다리 통증으로 인해 걸을 때도 상당한 불편을 호소한다.
척추관협착증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주사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를 진행한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협착이 심한 경우라면 압박된 신경을 풀어주고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척추협착 풍선 확장술을 고려해야 한다.
김포시청 인근에 위치한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박종훈 원장은 “과거에는 수술적 치료를 통해 척추관을 압박하는 뼈나 인대를 제거하는 방법을 통해 치료했지만, 요즘은 비수술 치료로 척추관의 폭을 넓혀주는 것이 보편적이다. 특히 척추협착 풍선 확장술은 단순히 약물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이 아닌, 풍선을 이용해 척추관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더욱 효과적이다”라고 전했다.
척추협착 풍선 확장술은 말 그대로 풍선을 이용해 협착된 부위를 확장해주는 시술이다. 꼬리뼈 부위의 신경 통로를 따라 풍선이 내장되어 있는 특수 카테타(길고 가느다란 의료기구)를 삽입, 협착이 심한 부위까지 밀어 넣고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방식이다.
시술은 국소마취 후 시행되며, 소요시간은 10~20분 정도로 짧다. 시술 후유증이 거의 없고 정상 조직의 손상 또한 거의 없어 당뇨나 혈압, 심장질환자, 골다공증 환자 및 고령자에게도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20분 내외의 짧은 시술시간으로 당일 시술, 당일 귀가 가능해 바쁜 현대인들에게도 효과적인 시술법이다.
척추관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상시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척추 주변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적정한 운동이나 스트레칭과 함께 바른 자세와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특히 스트레칭은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꾸준히 할 경우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통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