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에 북한과 전쟁을 검토했지만 승리를 거두더라도 막대한 피해를 피할 수 없어 결국 포기했다고 ABC뉴스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BC뉴스에 따르면 미국 조지워싱턴대 부설 국가안보문서보관소(National Security Archive)가 정부 기밀문서에서 드러난 주요 인사 발언, 정부기관 보고를 종합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
ABC뉴스는 “한반도 전문가인 돈 오버도퍼는 미국 국방부가 1994년 북한과의 전쟁이 발발하면 개전 3개월 만에 주한 미군 5만2000명, 한국군 49만명이 죽거나 부상할 것으로 추산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클린턴 행정부는 북한이 영변 원자로에서 핵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핵분열 물질 추출을 시작하자 순항미사일로 공격하는 걸 검토했었다. 하지만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 합의를 이끌어냈다.
국가안보문서보관소 문건에 따르면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윌리엄 페리는 1998년 김대중 대통령과 가진 회담에서 “미국은 1994년 북한과 전쟁을 계획했었으며, 전쟁이 일어나면 한국과 미국이 틀림없이 승리할 것으로 믿었다. 다만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쟁 발발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 했다”라고 말했다.
페리 전 장관은 최근 “미국은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매우 강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으며 이후에도 그런 입장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북한은 결국 핵무기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핵을 확보하더라도 미국을 직접 공격하지는 않겠지만 한국을 상대로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분쟁이 확산돼 미국이 북한과의 전면적인 핵전쟁에 휘말릴 수 있으며, 피해는 1차 세계대전이나 2차 세계대전의 피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