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탄핵 1년 맞은 날…여전히 갈린 민심, 보수 단체 "박근혜 석방"

입력 2017-12-09 16:42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지 1년째인 9일 오후 서울 광화문 사거리 인근 도로에서 지지단체가 석방 촉구 집회를 열고 있다. 뉴시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지 1년째인 9일 민심은 여전히 엇갈렸다. 진보단체들은 촛불 시위를 추억했고, 보수단체들은 박 전 대통령의 석방을 강하게 요구했다. 정당들도 논평을 내고 지난 1년을 되돌아봤다. 하지만 자유한국당은 침묵했다.

◇진보, 촛불 1년 추억 vs 보수, 朴 구명 운동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기록기념위원회(기록기념위)는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촛불 1년 시민토론회와 사진전시회를 진행했다. 토론회에서는 지난 1년 간 시민들이 탄핵을 계기로 발견한 새로운 희망과 앞으로의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으로 돌아보는 촛불 1년’ 전시회도 진행됐다. 시민들은 사진들을 보며 지난 1년의 촛불을 기억과 추억, 의미 등을 되돌아봤다.

주최 측은 "12월 9일은 국회가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한지 꼭 1년이 되는 날"이라며 "오늘 행사에서 촛불 주역이었던 시민들이 지난 1년간 발견한 희망들을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와 달리 대한애국당 계열인 시민단체 '박근혜 전 대통령 무죄 석방 서명운동본부'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앞에서 집회를 열고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무효를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집회를 마친 뒤 대학로에서 종로5가, 보신각을 거쳐 삼청동까지 가두 행진을 벌였다.

‘태극기시민혁명 국민운동본부’도 오후 1시30분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약 500명이 참석하는 태극기 혁명 국민대회를 열고 대한문에서 세종로를 따라 광화문사거리까지 가두행진을 했다.


한반도 평화를 지향하는 시민단체 '통일의병'은 광화문 한빛광장에서 평화협상을 촉구하는 반전(反戰) 집회를 진행했다.


◇민주 "적폐 걷어내야" 국민의당 "개헌 선거 개혁 나설 것" 정의 "촛불 명령 지킬 것"…한국당은 침묵

더불어민주당은 촛불민심의 열망을 받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강훈식 원내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에서 "지난 1년은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달라는 염원을 위해 노력한 시간이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특히 "아직 곳곳에 남아있는 적폐를 걷어내고 민생을 개혁해야 한다"면서 "여소야대 정국이 때로는 한계로 느껴지지만, 촛불민심의 염원을 위해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데 더욱 철저히 복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의당은 "어물쩍거렸던 국회를 국민이 끌어냈고 결국 국민이 탄핵 가결을 주도했다는 점을 잊지 말고 반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석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오늘은 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파괴한 박근혜 정권에 대해 국회가 탄핵을 가결하면서 민주주의를 바로 세운 역사적인 날"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탄핵이 가결된 이후 대한민국에 많은 변화가 찾아왔으나 청산해야 할 적폐는 여전하다"며 "박근혜 정권의 적폐 뿐 아니라, 그 이전부터 공고하게 쌓여 온 적폐들도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회가 촛불의 명령인 개혁법안과 개헌을 완수하고, 대한민국이 정의로운 국가로 대전환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라고 다짐했다.

국민의당은 "정권교체가 되고 여야는 바뀌었지만 촛불 민심을 왜곡하는 승자독식의 싸움판 정치는 여전하다"고 비판했다. 이행자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여전히 빈부격차, 양극화,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지만 검찰 개혁, 언론개혁, 재벌개혁의 숙제는 여전히 남아있다"며 "전 정권의 적폐는 청산하되 문재인 대통령과 새 정부의 기득권 지키기는 한 치의 양보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이번에도 국민의당이 나서야한다"며 "국민의당은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을 주도함으로써 합의제 민주주의의 역사적 사명을 다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은 9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지 1년이 된 것과 관련, 침묵을 지키고 있다. 전희경 대변인은 이날 “관련 논평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정우택 원내대표는 지난 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의 ‘탄핵소추안 가결 1주년’이란 질문에 “탄핵소추안 1주년이라고 하는 것 (어감상) 좀 그렇다”며 “미안하지만 1년이라고 말해달라”고 말했다. 지난달 4일 홍준표 대표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조치를 완료했기 때문에 최대한 언급을 피하는 모양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