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1주년, 자유한국당 ‘침묵’

입력 2017-12-09 13:19

자유한국당은 9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지 1년이 된 것과 관련, 침묵을 지키고 있다. 전희경 대변인은 이날 “관련 논평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정우택 원내대표는 지난 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의 ‘탄핵소추안 가결 1주년’이란 질문에 “탄핵소추안 1주년이라고 하는 것 (어감상) 좀 그렇다”며 “미안하지만 1년이라고 말해달라”고 말했다. 지난달 4일 홍준표 대표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조치를 완료했기 때문에 최대한 언급을 피하는 모양새다.

다만 여권은 잇따라 입장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은 9일 “국회는 1년 전 현직 대통령 탄핵에 동참한 초심으로 돌아가 진정 국민을 위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논평했다. 김효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지난 촛불시민혁명 과정에서 나타난 제도정치와 시민정치의 역동성을 살려 개헌과 권력기관 개혁 등 주어진 시대 과제를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대변인은 “지난 1년은 시민과 정치인이 소통했고, 광장과 의회가 하나였다”며 “그 광장에는 이념도, 계층도, 나이 구분도 없었다. 전 세계가 평화적인 촛불혁명에 경의를 표했고, 독일 에버트재단은 인권상으로 화답했다”고 평가했다. 또 “하지만 아직도 집단, 사회 곳곳에 남아있는 오래된 부조리들은 시민적 자유를 억압하고 공정한 경쟁을 가로막고 있다”며 “적폐청산에 대한 국민적 요구는 멈춘 적이 없다. 우리 국민은 여전히 목마르다”고 강조했다.

정의당은 “어물쩍거렸던 국회를 국민이 끌어냈고 결국 국민이 탄핵 가결을 주도했다는 점을 잊지 말고 반성해야 한다”고 논평했다. 최석 대변인은 “오늘은 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파괴한 박근혜 정권에 대해 국회가 탄핵을 가결하면서 민주주의를 바로 세운 역사적인 날”이라 평가했다.

최 대변인은 “정의당은 촛불의 의미를 그 어느 정당보다도 철저히 받아 안았고, 한발 앞서 행동했으며, 끝까지 국민들과 촛불을 지켰다고 자부한다”며 “앞으로도 오로지 국민만 보며 정의당이 존재 이유를 찾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회는 탄핵소추안을 통과시켰던 마음가짐을 기억하고 촛불 시민들이 요구하는 적폐청산과 개혁 완수의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

국민의당은 화살을 문재인 정부로 돌렸다. 이행자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전 정권의 적폐는 청산하되 문재인 대통령과 새 정부의 기득권 지키기는 한 치의 양보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에도 국민의당이 나서야한다”며 “국민의당은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을 주도함으로써 합의제 민주주의의 역사적 사명을 다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바른정당도 “탄핵의 과정은 고통스러웠지만 우리는 헌법적 가치를 지키기 위한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해석했다. 유의동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며 “대한민국의 헌법을 수호하고, 제대로 된 보수를 재건하는 그 길을 계속해서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12월 9일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찬성 234명, 반대 56명으로 가결된 바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