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에는 앞뒤, 안팎으로 4개의 인대가 존재하며, 앞뒤에 위치한 인대는 십자 모양이어서 ‘십자인대’라고 불린다. 이중 앞뒤에 위치한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을 지탱하고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도한 운동이나 큰 충격으로 인해 무릎 관절이 뒤틀리거나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꺾어지면 무릎 십자인대가 손상되거나 파열될 수 있는데, 주로 후방십자인대에 비해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많은 편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사고 유형에 따라 부분파열이나 완전파열이 발생 할 수 있으며, 무릎에서 ‘퍽’하는 파열음과 함께 무릎이 떨어져 가는 느낌을 받게 된다. 완전파열은 바로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는데 비해 부분 파열은 생각보다 통증이 심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점차 출혈과 부어 오름, 통증이 동반되어 서 있기 힘들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보행도 어렵게 된다.
강북연세사랑병원 박영식 원장은 “전방십자인대을 방치하면 2차적인 동반 손상으로 반월상 연골판에 파열을 유발할 수 있고, 관절연골이 비정상적으로 닳아 연령에 상관없이 퇴행성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때문에 무릎에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밀진단과 함께 치료를 서두는 것이 좋다”고 전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이학적 검사, MRI, 관절내시경 등을 통해 뼈와 십자인대의 손상 및 파열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다면, 약물이나 주사, 보조기 등을 이용하여 비수술적인 치료를 적용 할 수 있다. 그러나 무릎 안의 다른 구조물의 추가 손상이나 관절염으로 진행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방법으로 찢어진 인대를 제거하고 새로운 인대로 복원하는 전방십자인대 복원술을 시행하게 된다.
박영식 원장은 “전방십자인대는 기능적으로 크게 두 가닥으로 이뤄져 있어, 복원을 위해서는 이를 원래의 인대와 비슷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전방십자인대 두가닥 복원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하기 때문에 절개부위가 최소화되고 조직의 손상이 거의 없다. 또한 한 가닥 인대 복원술에 비해 강도가 높고, 회전 불안정까지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전한다.
이어 박 원장은 “수술 후에는 통증을 느끼지 않는 선에서 하지 직거상 운동, 족관절 운동, 무릎관절 능동 굴신 운동 등의 재활운동을 시작할 수 있으며, 회복 이후에는 가벼운 스포츠나 레저활동도 즐길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진의 권고사항을 잘 따르고 무릎의 안전한 기능 회복에 중점을 두고 재활 속도를 적절히 조절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한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