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신모씨(35)는 최근 건감겅진을 통해 자궁근종을 발견했다. 생각보다 사이즈가 크고 생리통이라고 생각했던 통증이 자궁근종으로 인한 것임을 확인해 자궁근종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향후 임신 계획이 있는 만큼 신씨는 자궁의 기능에 문제가 없는 방향으로 하이푸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방법을 고민하는데, 근종의 사이즈가 큰 편이라 치료가 가능할 지 걱정이다.
신씨처럼 35세 이상의 여성 중 40-50%가 가지고 있다는 자궁근종은 자궁 근육에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생기는 혹이다. 자궁암과는 구별되는 양성종양으로 일반적으로 자궁근종은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정기검진을 통해 경과를 지켜보지만, 사이즈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면서 통증과 출혈 등의 증상이 느껴진다면 자궁환경이 악화되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궁근종을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누어진다. 과거에는 자궁적출술, 자궁절제술, 근종절제술과 수술적인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증세가 심해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궁의 기능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추후에 임신 계획이 가능한 비수술적 치료를 선호하는 편이다.
레아산부인과 산부인과 전문의 이경숙 대표원장은 “비수술적인 자궁근종치료 방법으로는 하이푸 시술, 고주파용해술, 자궁동맥 결찰술, 약물치료 등이 있다. 약물치료의 경우 근종의 사이즈가 크면 치료가 힘들고 복용을 중지하면 재발할 가능성이 있어 주로 다른 치료와 병행하는 편이다. 또한 고주파용해술은 근종 위치에 따라 시술이 불가능할 수도 있어 사전 진단이 필요하다. 최근 몇 년간 치료케이스가 늘고 있는 하이푸 시술은 고강도 초음파를 이용한 비절개 치료로 MRI를 통해 자궁근종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치료 방법이 제대로 설계되었다면 다른 비수술 치료방법에 비해 치료범위가 넓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 원장은 “충칭 하이푸의 경우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여러 개의 근종을 동시에 치료할 수도 있을 만큼 포커스의 정확도가 높고 근종을 잘 태우는 편이다. 단, 의료진이 직접 모니터링을 통해 근종에 고강도 초음파를 포커싱해 근종을 제거하는 만큼 포커스의 정확도를 높은 하이푸 장비를 구비하고, 정확한 사전진단과 의료진의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