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평창 바가지’ 숙박업소와 전쟁 선포… 특별단속팀 운영

입력 2017-12-06 15:01

강원도 강릉시가 평창동계올림픽에 맞춰 바가지 요금을 받는 숙박업소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강릉시는 숙박업소의 바가지 요금으로 발생하는 관광객 이탈을 막고 지역 이미지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바가지 요금 숙박업소 및 공동주택 불법 용도변경 특별단속팀’을 구성해 운영에 들어갔다고 6일 밝혔다.

특별단속팀은 숙박요금과 정보를 제공하는 ‘강릉시 공실정보 안내시스템(stay.gn.go.kr)’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과도한 요금을 요구하는 숙박업소를 대상으로 점검을 실시해 건축법과 주차장법, 공중위생법, 소방시설 등에 대해 강력한 단속에 나선다. 현재 공실정보 안내시스템에는 전체 숙박업소 1022곳 중 713곳이 등록했다.

국내·외 관광객을 상대로 아파트 등을 빌려주고 돈을 받는 공동주택 불법 숙박업도 집중 단속한다. 올림픽이 끝난 뒤에도 바가지요금으로 인한 민원이 접수될 경우 관련법에 따라 점검 후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강릉시의 이 같은 대처는 ‘올림픽 반짝 특수’를 노린 일부 숙박업소의 바가지 요금과 개별 관광객 예약 거부 등이 지역 이미지를 훼손하고, 올림픽 열기에도 찬물을 끼얹고 있기 때문이다.

천정부지로 솟구치던 숙박요금은 최근 강릉시와 업소들의 자정 노력으로 안정되고 있다. 손정호 대한숙박업중앙회 강릉시지부장은 지난 30일 기자회견을 열어 올림픽 기간 중 30만원에 계약된 객실에 대해 반값만 받기로 공언했고, 관내 업소 3곳이 동참하는 등 ‘숙박료 반값 받기’에 다른 업소들의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최명희 강릉시장은 “잘못 끼워진 단추였지만 더 늦기 전에 바로잡지 않으면 강릉의 미래는 없다는 절박감으로 숙박요금 안정화에 나섰다”며 “올림픽 이후에도 다시 찾고 싶은 강릉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강릉=서승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