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가 6일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오염 사고 10년을 맞아 참사를 다시 기억하며 정책을 재정비할 것을 촉구했다.
이날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는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조선 기름유출 태안환경참사가 일어난 지 10년이 흘렀다"며 "정부의 유류 오염 사고에 대한 대응 방안은 잘 수립돼 있는지 재점검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오염 사고는 2007년 12월 7일 충청남도 태안군 앞바다에서 홍콩 선적의 유조선 '허베이 스피릿 호'와 삼성물산 소속 '삼성 1호'가 충돌, 유조선 탱크 원유가 인근 해역으로 유출되며 일어났다.
이들은 태안환경보건센터가 2009년 이후 10년간 조사한 결과 태안군에서 전립선암(남성) 환자 비율이 154% 증가했고, 백혈병(여성) 환자 비율이 54% 증가했다고 주장하며 정부가 정책 점검을 통해 주민 안전을 보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위원회는 해양수산부에 유조선과 유독물질 운반선박 선체 강화 정책 시행, 유조선·HNS 선박 안전한 항로 확보, 주요 항구 유류오염 전문방제단 설치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산업자원부에는 지진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포항영일만의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 사업을 즉각 중지하고 지진 안전성을 검토해 줄 것을 촉구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