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흥도 낚싯배 사고’ 문재인정부 아쉬운 대응 2가지

입력 2017-12-04 11:20
문재인 대통령이 3일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인천 영흥도 앞바다 낚싯배 전복사고 관련 상황보고를 받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인천 영흥도 해상에서 지난 3일 발생한 낚싯배 침몰 사고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대응은 박근혜 정부 세월호 참사 때보다 신속하고 투명했다. 하지만 해경의 현장 도착까지 33분이 걸린 것을 두고 골든타임을 놓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경에 낚싯배 사고 신고가 접수된 것은 오전 6시9분이었다. 경비정이 출동을 지시한 것은 4분 지난 13분이었고, 경비정은 26분에 출발해 42분에 현장에 도착했다. 문 대통령은 신고 52분 만인 오전 7시1분 첫 보고를 받았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1차 보고를 받은 시각과 “해경 현장 지휘관의 지휘하에 해경,해군,현장에 도착한 어선이 합심하여 구조작전에 최선을 다해달라”는 지시를 오전 9시6분과 9시12분께 언론과 페이스북에 공개했다.

사고 1시간이 지날 때까지 실종자 수색에 성과가 없자 문 대통령은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직접 찾아 해양경찰청, 행정안전부 등과 화상회의를 열었다.

문 대통령은 해경 현장지휘관 중심의 구조, 의식불명 원인에 대한 의료조치 구조 중 안전사고 방지, 희생자 가족 지원, 주요 사안 언론 공개를 지시하고 김부겸 행안부 장관에게 필요시 관계장관 소집 권한도 부여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직접 상황을 챙기고 있다”며 구조작업 중인 현장에 힘을 실어주고 유가족 지원 등 현장에서 챙기기 어려운 부분은 별도로 지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경민 해양경찰청장이 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해양경찰청 상황 회의실에서 전국 지휘관 화상회의를 개최, 동절기 해양안전관리 및 유사시 즉시 출동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사진=해양경찰청 제공

해양수산부도 사고 직후인 오전 6시30분께 사고 사실을 통보받고 김영춘 장관을 본부장으로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했다.

세월호 참사 당시 사고 신고 접수 시간과 현장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허둥대다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지적에 따라 문재인정부는 초기부터 현장 중심 구조체계를 갖추고 시간대별 조치 내용까지 상세히 밝혀 이전 박근혜정부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세월호 참사 때보다 신속한 대응이었지만 인명피해는 컸다. 충돌 후 곧바로 전복돼 선실에 있던 승객들이 대피하지 못한 데다 겨울철 바닷물이 차갑고 물살이 거칠었기 때문이다. 신고 접수에서 현장 도착까지 33분이나 걸린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해경 고속정은 신고 접수 4분 뒤 출동 명령을 받고 13분 만에 사고 해상으로 떠났다. 현장에 도착하는 데 걸린 시간은 16분이었다. 신고 접수에서 현장 도착까지 33분 걸린 것이다. 이 시간을 단축했더라면 희생자를 출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다.

지난 3일 인천 영흥도 앞바다에서 급유선과 충돌해 전복된 낚시어선 선창1호가 4일 오전 인천 중구 인천해양경비안전서 전용부두에 입항하고 있다. 뉴시스

또 전복된 낚싯배 선체에 갇힌 승객을 구조할 수 있는 잠수사를 태운 구조 선박이 평택항에서 출발하느라 수중 구조의 골든타임인 1시간 이내 도착하지 못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수중 구조대는 오전 7시36분 투입됐다. 사고 당시 탑승인원 22명 중 14명이 선체 내부에 있었다. 전복된 배 안에 남아있던 에어포켓에 의존한 3명을 제외한 11명은 사망했다.

이날 새벽 출항한 낚싯배 선창 1호가 급유선 명진 15호와 충돌해 전복됐다. 이 사고로 선창 1호에 타고있던 22명 중 13명이 사망하고 선장과 승객 1명은 실종됐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