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진으로 인한 자연현상으로 액상화가 발생했지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정부가 포항 지진 발생 이후 나타난 액상화 현상에 대한 현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정종제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은 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포항 지진 액상화 관련 중간조사 결과 브리핑을 갖고 “액상화 조사대상 10곳 중 흥해읍 망천리 논 1곳이 액상화지수 ‘높음’으로 판정됐다”며 “그러나 구조물의 기초까지 피해를 주는 정도의 깊이 있는 액상화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지난 15일 포항 지진 발생 이후 지반이 약해지는 현상인 액상화 추정 신고가 17건 접수됐다.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기상청은 19일부터 합동조사단을 구성, 진앙에서 10㎞ 이내, 액상화 신고·우려 지역 등 10곳에서 시추조사를 실시했다. 합동조사단은 채취된 토질 시료의 입도분포 등을 분석해 5곳을 ‘액상화 발생 가능지반’으로 판정하고, 이들 5곳의 시료를 다시 정밀 분석해 일본의 액상화지수(LPI)를 기준으로 평가해 4곳은 액상화지수가 5 이하인 ‘낮음’으로, 망천리 논은 6.5 ‘높음’으로 판정했다. 액상화지수는 ‘0(없음)’ ‘0∼5(낮음)’ ‘5∼15(높음)’ ‘15 초과(매우 높음)’ 등 4단계로 구분한다. ‘높음’은 구조물 설치 시 액상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 실장은 “시추조사를 실시한 10곳을 전문가들과 돌아다녀 봤는데 구조물의 기초까지 피해를 주는 정도의 깊이 있는 액상화는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이번 조사 내용과 전문가들의 자문 결과를 종합하면 액상화는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