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카(몰래카메라)’와 ‘도촬(도둑촬영)’을 감시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서울시에서 도입된 여성안심보안관이 당초 취지와는 다르게 실적을 전혀 올리지 못해 실효성 논란이 불거졌다.
시는 ‘여성안심보안관제도’를 도입하고 여성으로 구성된 보안관들이 서울 시내 수영장과 탈의실, 화장실 등을 돌며 ‘몰래카메라’를 수색하도록 했다. 2인 1조로 구성된 여성안심보안관들은 관내 25개 구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화장실 등을 돌아다니며 몰래카메라 수색 작업을 벌였다. 지난 8월을 기준으로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색한 공공 화장실과 탈의실은 총 6만500여 곳에 이른다.
도입 당시 시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몰카 범죄 근절과 경력 단절 여성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았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하지만 모두 이 의견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여성 보안관의 무용론도 불거지고 있다. 지난 1년간 여성안심보안관들이 몰래카메라를 단 하나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사업에 예산 7억여원을 책정한 시는 몰카 적발 건수 ‘0건’이라는 실적에도 불구하고 내년에는 규모를 더 늘리기로 했다. 보안관 숫자를 지금의 두 배인 100명으로 늘리고 예산도 더 투입한다.
시 관계자는 지난 9월 조선일보에 “몰카를 찾아도 안 나오는 게 가장 좋은 일”이라며 “여성안심보안관들이 활동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몰카 설치를 억제하는 예방 효과가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시 여성안심보안관으로 일하고 있는 한 여성은 지난 8월 머니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1년간 여성안심보안관들이 몰카를 단 한 개도 발견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사유 시설을 제대로 탐지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보안관들로부터 몰카가 나오면 무조건 경찰에 신고해야 하니 그냥 돈을 주고 사설 탐지 업체에 맡긴다. 몰카를 한 개도 찾아내지 못해서 조급함이 들기도 하지만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몰카범들이 언제든 잡힐 수 있다는 ‘두려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목적”이라고 강변했다.
시 여성가족정책실 관계자는 조선일보에 “구역별 보안관 수가 2명에서 4명으로 늘면 더 많은 시설을 점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온라인으로도 점검 신청을 받는 등 활동 영역을 민간으로까지 넓히겠다”고 말했다.
이현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