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주에서 업무 중인 환경미화원들이 잇단 사고로 숨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낮 12시20분쯤 광주 남구 양과동 위생매립장에서 환경미화원 A(57)씨가 사망했다. A씨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차량에서 쓰레기를 내리는 작업을 하다가 B(47)씨가 운전한 청소차 적재함의 압축기계에 머리가 끼는 사고를 당했다. A씨는 출동한 119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경찰은 B씨가 청소차량 적재함에 있었던 A씨를 확인하지 못하고 기계를 작동한 것이 아닌가 보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앞선 이달 16일 오전 6시40분쯤 광주 남구 노대동 한 도로에서는 환경미화원 C(59)씨가 D(45)씨가 운전한 청소차에 치어 숨졌다. D씨는 경찰에 "후진하던 중 뒤쪽에 있던 A씨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2월 15일에는 오전 6시15분쯤 광주 북구 운암동 운암고가 밑 2차선 도로에서 환경미화원 E(당시 56세)씨가 음주운전 차에 치여 숨지기도 했다.
환경미화원이 잇단 사고로 숨지자 새벽 청소 폐지와 직영전환, 안전 담보를 위한 민관 공동기구 설치 등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나경채 정의당 광주시당 대변인은 "지난해 12월 환경미화원이 음주운전 차에 치여 숨진 사고 이후 '새벽 노동 폐지'를 촉구했지만 광주시가 검토조차 하지 않았다"며 "광주시는 앞이 잘 보이지 않는 새벽 시간 청소를 폐지하는 등 근로시간대를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청소를 담당하는 5개구 중 1개구를 제외한 4개 구청이 비용절감을 위해 민간 위탁을 하고 있어 환경미화원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직영으로 전환해야 하고 민관이 합동으로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 광주시는 28일 환경미화원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다고 밝혔다. 16일 광주 남구 환경미화원이 근무 도중 사망한 사고를 계기로 업체와 노조 대표, 시·구 관계자들이 두 차례 합동간담회를 갖고 개선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환경미화원들은 작업시간 후 편하게 쉬고 식사할 수 있는 휴식공간 확보·체육행사 지원 등 복지향상 방안 마련·위생매립장·음식물자원화시설 탄력적 운영·대용량 종량제봉투(100ℓ), 음식물수거통(20ℓ) 사용 자제·안전발판 설치 등을 요구해 광주시가 수용키로 했다.
또 위생매립장과 음식물사료화시설 반입 제한시간을 즉시 도입키로 했다.
반면 일각에서 주장해 온 근무시간 조정과 유도요원 배치 등에 대해서는 생활폐기물의 효율적 수거를 위해 불필요하다는 방침을 정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