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진 피해를 입은 포항지역 주택들에 대해 정밀점검에 들어갔다.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안전점검에서 ‘위험’으로 판정된 56곳 전부와 ‘사용제한’ 판정을 받은 87개 시설 중 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 어린이집 등에 대해 이날부터 정밀점검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일부터 27일까지 포항시와 합동으로 지진피해를 입은 민간주택 1579곳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벌여 ‘사용가능’ 1400곳, 출입을 제한해야 하는 수준인 ‘위험’ 56곳, 출입과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사용제한’ 87곳으로 집계했다.
정밀점검은 이날부터 대성아파트와 뉴소망타운 등 대규모 세대가 거주하는 주택을 대상으로 우선 시작됐다. 정밀점검은 측정·시험장비로 건물 안전성을 평가하고, 건축 전문가들이 구조 안전성을 검토한 뒤 필요한 경우 보수·보강 방법을 제시한다. 이번 정밀점검에는 약 20억원이 소요된다.
정부는 또 포항 지진을 계기로 이재민 구호 체계를 개선하기로 하고 현재 ‘재해구호계획 수립지침’에 들어가 있는 이재민 구호 사항을 별도로 분리해 ‘이재민 실내구호소 운영 지침’을 새롭게 제정하기로 했다. 정종제 중대본 총괄조정관은 “운영지침에는 사생활 보호 칸막이 설치, 이재민 등록과 출입증 배부, 민원 데스크 운영, 남녀 화장실 설치, 의료 및 심리 지원, 노인이나 아동 같은 취약계층 관리 등 상세한 내용을 담을 계획”이라며 “일본의 ‘피난소 운영 매뉴얼’ 등 해외 선진사례도 참고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 집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현재 총 1202명의 이재민이 실내구호소에서 지내고 있다. 장기 이주를 희망하는 251가구 중 103가구가 LH 임대주택 등에 입주했고, 이날 22가구가 추가로 이사한다.
정부는 이밖에도 지진 옥외대피소로 지정된 9403개소에 내년 상반기까지 안내표지판 설치를 완료하고, ‘옥외대피소 지정에 관한 지침’도 내년 3월까지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내년 ‘국가안전대진단’에서 포항 지진으로 사회적 이슈가 됐던 학교시설과 지진 실내구호소의 내진설계를 전수 점검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내년 2월 5일부터 3월 30일까지 54일간 전국 약 29만곳의 시설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내용의 ‘2018년 국가안전대진단 기본계획’을 이날 확정, 발표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