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후통합 매뉴얼 있어야 수백조가치 가능, 없으면 쪽박” 서울대-인천대 합동 심포지엄 12월 1일 개최

입력 2017-11-29 00:03 수정 2017-11-29 01:01
‘통일후통합’에 대한 학계의 논의가 본격화된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과 인천대 통일후통합연구원(원장 이갑영)은 사상 처음으로 오는 12월 1일 인천대 교수회관 3층 대회의실에서 ‘통일후 통합’에 대한 합동 심포지엄 행사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조동성 인천대총장은 “통일후 통합에 대한 매뉴얼이 있어야 수백조의 가치창출이 가능해 대박이 가능하지만 준비없이 통일이 되면 쪽박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조 총장은 “인천은 북한과의 접경도시로 해양분계선이 더 길다”며 “통일후 통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부족해 서울대와 손잡고 통일후통합에 대한 논의를 인천대가 적극적으로 모색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조 총장은 또 “독일 베를린대학 교수가 통일후 초등교과서를 만들어야 아이들에게 통일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는데, 준비없이 통일이 되다보니까 ‘통일교과서’가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한 적이 있다”며 “‘역사교과서’부터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총장은 인하대가 내년 2월 ‘2018평창패럴림픽대회’를 앞두고 남북한 학자들이 강화도와 개경(고려의 수도, 지금의 개성)에서 만나 고고학적 접근을 통한 우리나라의 국경에 대한 논의를 새롭게 논의하기위해 국제세미나를 추진하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 총장은 “통일후 24시간내에 해야할 10가지, 즉각해야할 10가지 등에 대한 매뉴얼이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조 총장은 “서울대와의 협약이후 첫번째 사업을 통일후통합에 대한 이슈를 다루기로 했다”며 접경지역인 인천, 경기도, 강원도 등이 공동으로 이 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힘을 모으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조 총장은 “남북한의 온도가 3∼6도 차이가 나면서 북한 주민의 20%가 결핵에 걸려 있는 등 전염병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DMZ를 둘러싸고 사람과 짐승이 공통으로 걸린 질병에 노출된 수십만마리의 야생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어 남북의 접경지역은 상호협력을 해야 공멸을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통일국민공감위원회가 통일마라토너 콘텐츠를 통해 다음달부터 중동을 방문해 이란에서 2개월동안 마라톤 실황을 제작하고, 구 러시아를 거쳐 중국에서 6개월동안 현지 통일토크 및 여행 프로그램을 통한 한반도의 평화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에 대해서도 관심을 표명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