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국민일보] 미대 입시 비리 먹칠… 근절되지 않는 ‘교수-학원’ 유착

입력 2017-11-29 07:00
서울 중구 명동 쇼핑가가 28일 관광객으로 북적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한국행 단체관광을 금지한 지 8개월여 만에 베이징과 산둥 지역에 한해 일반 여행사의 한국 관광객 모집을 허용하기로 했다. 윤성호 기자


2017년 11월 29일 수요일 국민일보 기사들입니다.

[단독] 미대 입시 비리 먹칠… 근절되지 않는 ‘교수-학원’ 유착


서울 주요 대학 미대 교수들이 사설 학원과 유착해 입시 비리를 저지른 정황을 경찰이 포착해 수사에 착수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기시험 직전 관련 주제를 학원에 교묘히 흘리는 방식의 비리가 수년간 지속돼 왔다는 학원업계 관계자의 증언도 나왔습니다. 2009년 홍대 미대 입시 비리 사건 이후 9년 만에 입시 비리 문제가 다시 불거져나왔습니다.


대법관 후보 2명 ‘非 서오남’... 신임 정무수석은 ‘내부 승진’

안철상(60·사법연수원 15기) 대전지방법원장과 민유숙(52·18기)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내년 1월 퇴임하는 김용덕 박보영 대법관 후임으로 임명제청됐습니다. 김명수 대법원장은 대법관추천위원회가 추천한 9명의 후보자 중 안 법원장과 민 부장판사를 대법관으로 임명해 달라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28일 제청했습니다. 김 대법원장의 첫 대법관 임명제청권 행사로 이른바 ‘서오남’(서울대 출신 50대 남성 판사)은 배제됐습니다. 안 법원장은 건국대 법대 출신이고 민 부장판사는 여성입니다.


中, 한국여행 풀고 北은 묶었다

중국이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를 이유로 중단했던 한국행 단체관광을 일부 허용키로 했습니다. 하지만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에 대해선 보복 조치 해제 대상에서 제외해 ‘뒤끝’을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중국은 아울러 일부 동북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제외하고 중국인들의 북한 여행을 금지시켜 북·중 관계가 더욱 악화될 전망입니다.


한 해 50만건 낙태 추정... 출생아보다 많아


국내 연간 임신중절(낙태) 건수가 최대 50만건에 달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습니다. 이는 지난해 출생아 수인 약 40만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입니다. 국가 차원에서 경제적 문제 등으로 아이를 낳지 못하는 환경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박명배 배재대 실버보건학과, 김춘배 연대 원주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보건행정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기고 논문에서 “2007년부터 9년간 낙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니 뚜렷한 증가 및 감소 추세가 관찰되지 않았다”고 28일 밝혔습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