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4세 아기 등 탈북자 10명 결국 北送…문재인 정부는 아무 것도 못했다

입력 2017-11-28 19:34 수정 2017-11-29 19:37
지난 4일 중국 공안에 붙잡힌 한 탈북자의 공민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보안성’ 글귀와 도장이 선명하다. 아래는 이번에 엄마와 함께 붙잡힌 4세 아기의 북한 출생증. 갈렙선교회 제공

지난 4일 중국 선양(瀋陽)에서 공안에 체포된 4세 아기를 포함한 탈북민 10명이 결국 강제 북송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국민일보 11월 6일자 25면 참조). 

한국 정부는 체포나 북송 여부 조차 확인하지 못했고, 중국은 한국 정부의 협조 요청을 끝내 외면했다.
 
갈렙선교회 대표 김성은 목사는 이날 국민일보와 전화통화에서 “북한 외교관들이 중국 정부에 요청해 지난 17일 탈북자 10명 모두를 북한 신의주 감옥으로 데려갔다고 전해왔다"고 밝혔다.
탈북민 이모씨(오른쪽)가 2015년 북한에서 아들 돌을 기념해 아내와 함께 사진을 찍었다. 이씨는 영국 BBC방송에 출연해 최근 탈북한 아내와 4세 아들을 북한으로의 강제송환을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아내와 아들은 지난 17일 끝내 중국 공안당국에 의해 북한당국에 넘겨져 신의주로 송환됐다. 영국 BBC방송 캡처.

김 목사는 "갈렙선교회 북한 소식통들이 탈북자들이 중국 단둥을 거쳐 북한 신의주에 도착했다고 소식을 전해왔다"며 "신의주 보위부원들은 함경북도 회령 보위부에 전화를 걸어 이들을 데려가라고 연락했다"고 전했다. 

이어 “탈북자들이 북송되면 사형, 정치범수용소에 끌려가는 등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된다. 구출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탈북자들은 이달 초 두만강을 건너 중국으로 잠입했다. 이들은 라오스, 베트남 등 제3국을 거쳐 한국 등으로 이동할 계획이었다.

탈북자들의 나이는 4세 아기부터 60대까지 다양하다. 이들 중엔 지난 해 8∼9월 큰 홍수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난 함경북도 북부 두만강가에 위치한 회령 등에서 어렵게 살던 북한 주민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이번에 북송된 탈북자 가족은 이들이 북한 회령 지역에서 나온 직후 중국 선양의 한국영사관에 신변보호를 요청했다. 
지난해 9월 북한 두만강가 함경북도 회령지역의 홍수 피해 모습. 무너진 건물 복구를 위해 동원된 북한 주민들이 보인다. 갈렙선교회 제공

특히 국민일보를 비롯한 연합뉴스 BBC, CNN 등에 체포 소식을 알렸다.

김 목사는 "한국 외교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잘 되고 있다. 노력하고 있다고 거듭 말해 왔다. 우리 외교부는 도대체 뭐하는 곳이냐"라고 비판했다. 

또 "아무리 외쳐도 계속 북송되니 탈북자들은 불안해서 살겠느냐. 정말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북한 인권단체인 탈북동포회와 선민네트워크 회원들은 29일 오후 2시 서울 명동 중국대사관 앞에서 이 같은 사실을 알리고 탈북자들의 강제북송 중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는다.

이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보내는 400번째 서신을 통해 “탈북민의 강제북송을 중지하고 한국 또는 원하는 나라로 갈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촉구할 예정이다.

 또 최근 선양에서 공안에 체포된 탈북민 10명의 강제북송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을 밝혀 달라고 요청키로 했다.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