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를 위해 오는 12월부터 전국 252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하는 것과 관련, 현장 치매 분야 간호사들이 고용불안을 호소하며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치매국가책임제를 졸속으로 추진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치매안심센터를 보건소가 직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추진하고 있다. 장소가 비좁을 경우 공공기관을 임대할 수 있도록 허용한 상황이다.
치매안심요양병원은 우선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시립병원 등 공립요양병원에 시범적으로 치매전문병동을 설치해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향후 270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3∼6개월 가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치매안심형 주야간보호시설도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확충된다.
전문가들은 “관련 시설과 담당인력의 문제 해결없이 공약이행을 위해 서두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숫자 몇개를 늘리는 것보다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치매국가책임제 졸속 추진 우려
입력 2017-11-26 13:08 수정 2017-11-2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