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중국 무역이 지난달 뚝 줄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가 지난 9월 5일 발효된 이후 처음 집계된 월간 무역통계에서 북한의 대중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2% 급감했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3일(현지시간) 인용 보도한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달 북한의 대중국 수출액은 9000만 달러(약 977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2억3837만 달러·약 2587억원)에 비해 1억4837만 달러(약 1610억원) 줄었다. 10월 수출액은 전달(1억4580만 달러·약 1583억원)과 비교해도 38% 감소했다. 안보리 제재가 가속화될 경우 북한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안보리는 지난 8월 5일 채택한 대북결의 2371호에서 30일간 유예기간을 거친 뒤 북한산 석탄과 철, 철광석, 납, 해산물의 수출을 금지시켰다. 직후 중국 정부는 해당 물품의 수입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북한의 대중 수출액은 26억3400만 달러(약 2조8589억원)였다. 이 중 중국 정부가 수입을 전면 금지한 품목이 차지한 액수는 15억3272만 달러(약 1조6636억원)로, 북한 대중 수출액의 61.7%를 차지했다.
북한이 지난 10월 중국에서 수입한 금액도 2억4420만 달러(약 2650억원)로 전월(2억6640만 달러·약 2890억원)보다 8% 줄었다. 이에 따라 북한과 중국 간 10월 무역액은 3억3490만 달러(약 3634억원)로 지난 2월 이후 가장 낮았다.
이와 함께 북한 유조선들도 지난 7월 이후 대부분 운항을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VOA는 보도했다. 선박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보여주는 마린트래픽에 따르면 북한 유조선 20척 중 최근 한 달 이내 운항기록을 남긴 유조선은 ‘지성6호’와 ‘청림2호’ 두 척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북한 유조선은 올 상반기까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중국 다롄을 월평균 1∼4회 왕복했다.
일부에서는 북한 선박이 자동식별장치를 끄고 비밀 운항할 가능성도 제기하지만 북한의 원유 공급에 뭔가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더 많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도 지난 20일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알리는 기자회견에서 “대북 제재로 북한에서 휘발유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평양의 일부 주유소가 문을 닫았고, 차에 기름을 넣기 위해 긴 줄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다만 북한과 중국 간에는 송유관이 있어 유조선 없이도 일정량의 원유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영국은 북한에 대한 모든 공적개발원조(ODA)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영국은 올 초까지 32만 달러(약 3억4726만원)어치의 대북 원조프로그램을 지원했으나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모든 원조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또 영국 외무부는 자국 외교관들에게 부득이한 비상상황이 아니면 북한 국적 항공사인 고려항공 이용을 자제하라고 권고해 사실상 이용금지 명령을 내렸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