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中 ‘단계적 처리’=‘사드 일단락’… 번역 과정 오해일 뿐”

입력 2017-11-24 16:37 수정 2017-11-24 17:02
외교부가 배포한 '사드 단계적 처리 관련 중국측 발언' 자료 일부.

외교부가 24일 한·중 간 사드(THAAD) 문제 협의와 관련해 중국이 밝힌 ‘단계적 처리’는 “현 단계에서 문제를 일단락, 봉합한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10월 31일 한·중 관계 개선 협의 결과 발표로 사드 문제를 봉합했다는 우리 정부 설명과 달리, 중국이 ‘궁극적 목표는 사드 철회’라는 입장을 계속 거론하자 해명한 것이다.

외교부는 이날 ‘사드 단계적 처리 관련 중국 측 발언’을 정리한 A4용지 한 장을 배포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와 왕이 외교부장이 잇따라 언급한 사드 문제의 단계적 처리는 번역 과정에서 생긴 오해이지 양국 간 갈등 재발은 아니라는 내용이다. 일각에선 단계적 처리가 ‘중국의 사드 감시→추가 배치 금지→이미 배치된 사드 철회’를 의미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단계적 처리의 중문 원문은 ‘계단성 처리’(階段性 處理)”라며 “중국 측 관계자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닌 만큼 현 단계에서 문제를 일단락, 봉합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또 “중국은 10·31 발표 이후 새로운 입장을 내놓은 것이 아니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관계자도 앞서 “중국 측에서 보내온 설명에 따르면 단계적 처리는 ‘스텝 바이 스텝(step by step)'이 아니라 ‘현 단계’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그러나 한·중 간 사드 문제에 대해 “한·중 당국 간에 인식 차이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며 “(그 차이는) 우리도 인식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내부에서 ‘중국이 너무 양보했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며 “어느 순간 전면적으로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보이는 데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면서도 중국 측이 사드 레이더 차단벽 설치, 미군기지 현지조사 등을 요구했느냐는 질문에 “그런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단언했다. 다만 “양국 군사당국 간 채널을 통해 소통해 나가기로 한 합의가 있다”고 했다. 양국 외교부 차원에선 논의가 없었지만 추후 군사당국 간 협의 때는 나올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권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