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 생태계 복원을 위해 정부-지자체가 공동연구에 나선다.
23일 환경부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중앙부처와 부산시, 한국수자원공사가 참여하는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Ⅰ단계 연구’가 내달부터 내년 9월까지 진행된다.
예산은 3억원이며 연구가 끝나면 곧이어 Ⅱ단계 연구가 추진된다.
I단계 연구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환경 영향이 주내용이다.
낙동강 하류에는 지난 1987년 세워진 길이 2230m, 높이 18.7m의 하굿둑이 있다.
바닷물과 담수가 교차하는 이 지점에 16개 수문이 달린 하굿둑을 만든 이유는 인근 논밭에 염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고 강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식수로 사용하겠다는 계산이었다.
하지만 철새도래지인 삼각주 ‘을숙도’는 하굿둑 완공후 철새 개체수가 크게 줄었고 이 고장 명물이던 재첩도 자취를 감췄다. 이에 부산에서는 하굿둑의 수문을 다시열어 생태계를 다시 회복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하굿둑을 열어 해수가 유통될 경우 ▲지하수의 염분 침투가 인근 농작물 등에 미치는 영향 ▲하굿둑 주변 수질, 생태 등 환경 현황 ▲수문 개방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 분석 등을 추진한다.
이어 Ⅱ단계 연구는Ⅰ단계 연구결과를 토대로 2018년 하반기께 착수될 예정이다.
‘낙동강 하구 환경관리를 위한 실무협의회’의 논의를 거쳐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시범운영(실증실험) 및 하구 생태복원 방안 제시를 최종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하굿둑의 부분개방 실험 시나리오와 수문개방에 따른 장기 영향을 모니터링 계획도 수립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여 해수 유통을 통한 낙동강 하구의 기수역 조성 및 생태복원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