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에서 대표적 질병 중 하나로 복강경 담낭절제술로 주로 치료한다. 보통 1~2일 만에 퇴원 가능하고 합병증도 적은 수술이다.
문제는 담낭절제술 후에 담낭으로 이어지는 길 담도(담관)에 간혹 결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 마디로 복강경 담낭절제술 전과 수술 시 담도결석이 동반되는 경우가 없지 않다는 얘기다.
사진)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이 복강경 담낭 절제술 후 담도결석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기 위해
2008년 6월부터 2015년 7월까지 복강경 담낭절제 수술 전 담도 결석이 없었던 담낭 결석 환자 1938명을 수술 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 주요 위험인자를 선별하는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조사 결과, 복강경 담낭절제수술을 받은 담낭결석 환자의 수술 6개월 후 담도결석 발생률은 1.34%였다. 발생 시기는 짧게는 수술 후 6.1개월부터 길게는 52.7개월로 편차가 컸다.
연구팀은 또한 담낭 결석 환자가 수술 전 △급성 담낭염, △유두 주위의 게실을 동반하고 있을 때와 결석 크기가 0.55㎝ 이하일 때도 수술 후 담도결석을 합병할 위험이 크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과학서적 전문 출판사 ‘스프링거(Springer)’사가 발행하는 치료내시경 관련 국제 학술지 ‘서지컬 엔도스코피(Surgical Endoscopy)’ 최신판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