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에 걸쳐 JSA 북한 병사를 수술한 경기 남부 권역외상센터 이국종 교수는 22일 “환자는 사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2차 브리핑을 취소하고 심경을 토로한 이 교수는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현재 환자의 의식은 명료한 상태”라며 “수술이 매우 잘 돼 회복이 아주 빠르다”고 말했다.
2차 수술 3일 뒤인 18일 오전 9시 인공호흡기를 제거한 북한 병사는 자가 호흡을 하고 있다. 총을 맞은 왼쪽 폐에 폐렴이 발생해 기관지 내시경으로 염증을 제거했고 항생제도 투여했다. 현재는 발열 증세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팔·다리 총상의 오염물과 괴사 조직을 제거하고 봉합한 뒤부터는 염증 증세도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국종 교수는 “출혈성 쇼크, 복강 내 분변 오염과 소장 파열이 심했고 기생충 감염, B형간염이 있어 총상과 수술 부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며 “면밀한 집중치료를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술 과정에서 발견된 기생충(회충, 개회충)에 대해서는 “별 게 아니다. 사람 회충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하면 된다”고 말했다. 양쪽 폐에서 발견된 비활동성 결핵에 대해서는 “결핵은 현재 치료가 필요한 상황은 아니지만 추가 검사를 실시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귀순병사는 “총격으로 인한 부상, 두 차례의 대수술 등으로 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하다”고 한다. 이에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평가와 조사를 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병사가 치료에는 협조적이나 대화에 소극적이고 우울 증세를 보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환자는 좋아졌다. 안 죽을 것이다”라며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와 국민, 언론의 알 권리를 어디까지 보장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다. 의료기록은 비공개하는 게 원칙“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자가 다시 수술받을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며 “당분간 중환자실에서 치료하다 음식을 먹고 배변을 하고, 총상과 수술 상처에 후유증이 생기지 않으면 일반 병실로 옮길 예정”이라고 말했다. 상태가 더 호전되면 관계기관과 협의해 이송 또는 향후 치료 계획을 결정할 방침이다.
박세원 기자 sewonpar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