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교육부 장관은 20일 국무총리 주재 관계 장관회의를 거쳐 수능 시행 범부처 지원 대책 및 포항 수능 시험장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피해가 비교적 큰 북측의 4개교 대신 포항 남측에 대체시험장 4개교를 설치하도록 했으며 포항 인근에 예비시험장 12교를 병행 준비하기로 했다.
15일 경북 포항에 규모 5.4의 강진이 발생한 이후 교육부는 포항 지역 수능 시험장 12개교에 대해 교육부·교육청·민간전문가로 구성된 민관합동점검반의 1차 점검 및 교육부・행정안전부 합동 2차 정밀 점검을 진행했다. 이에 12개교 모두 구조적 위험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한편 포항 지역 고3 수험생을 대상으로 시험장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90% 이상의 학생이 건물이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면 컨디션 조절, 이동 편의 등을 이유로 포항에서 시험을 보기를 희망했다.
19일 부총리 주재 포항 현장 간담회에서도 지역 학부모들은 포항 관외로 이동할 경우 상당한 애로가 있음을 호소하면서 포항 관내에서 시험을 치르기를 희망했다.
다만 피해가 상대적으로 심했던 학교에서 시험을 보게 될 경우 구조적 위험이 없다고 하더라도 지진을 경험한 학생들이 심리적 불안을 겪을 수 있음을 우려했다.
교육부는 ▲시설 안전진단 결과 ▲학생들의 심리상태 ▲이동․숙박 등 제반 응시여건 ▲학생・학부모의 희망 ▲관계 기관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포항에서 시험을 시행하되, 진원지에 가깝고 피해가 비교적 큰 북측의 4개교 대신 포항 남측에 대체시험장 4개교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한 추가 여진 등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영천, 경산 등 포항 인근에 예비시험장 12교를 병행 준비하기로 했다.
박세원 기자 sewonpar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