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이 개발한 항암 신약 '올리타(성분명 올무티닙)'가 뇌로 전이된 비소세포폐암에도 치료 효과가 뛰어나다는 임상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미약품은 이런 내용의 올리타 글로벌 임상(2상)시험 결과를 지난 17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아시아 세션'(ESMO Asia)에서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글로벌 임상 2상 시험은 한국과 대만 호주 미국 등 10개국 68개 연구기관에서 진행됐다. 임상시험 대상은 뇌 전이 환자를 포함해 기존 항암제에 내성을 보이는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162명이다.
올리타를 투여한 후 병이 진행되지 않는 상태로 환자가 생존하는 '무진행 생존기간'은 9.4개월, 환자의 전체 생존 기간은 19.7개월로 나타났다.
투여 후 치료 관련 부작용으로 설사, 오심, 발진 등이 있었으나 이는 적절한 약물 감량으로 조절 가능한 수준이었다.
특히 임상시험 환자 절반 가량인 83명(51.2%)은 뇌전이 폐암 환자로, 뇌전이 여부와 관계없이 올리타의 치료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보고됐다.
임상 연구 책임자인 박근칠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올리타가 뇌 전이 환자를 포함해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라며 "3세대 폐암 신약으로서 평가받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올리타는 알약 형태 표적 항암제로, 기존 항암제에 내성이 생겨 더는 쓸 치료제가 없는 폐암 환자에 쓴다. 지난해 5월 27번째 국산 신약으로 허가받았다.
지난 15일부터 건강보험에도 등재돼 급여가 되기 전 750만원에 달했던 한달치 약값이 7만5000원(환자 본인 부담금 10%)으로 크게 줄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