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야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르면 21일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를 임명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3일 국회에서 홍 후보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이 무산되자, 오는 20일까지 다시 채택해줄 것을 요청했다.
중기부가 신설부처여서 정치인 출신 장관이 인력·업무를 조율하는데 수월하다는 점, 내각 인선이 지나치게 늦어진 점, 홍 후보자가 불법을 저지른 게 없다는 점이 이유로 꼽힌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중기부 장관으로 관료 출신은 부적절하다는 기류가 많다. 중기부 차관에 당초 장관 후보로 거론됐던 최수규 전 중소기업청 차장을 임명한 것도 관료 출신의 한계를 감안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19일 “신설 부처는 인력, 정책, 예산 등을 두고 기존 부처와 알력이 일기 마련”이라며 “관료 출신 장관이 올 경우 감당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고 말했다. 홍 후보자는 문 대통령 대선 캠프의 정책 부본부장 출신이다.
출범 6개월이 지나도록 내각 구성이 완료되지 않은 점도 홍 후보자 임명 기류에 힘을 보태고 있다. 안경환(법무부) 조대엽(고용노동부) 박성진(중기부) 등 장관 후보자들이 잇달아 낙마한 상황에서 홍 후보자까지 낙마하면 청와대 인사·민정 라인은 다시 한 번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천명했던 ‘고위공직자 배제 인사 5대원칙’에 대해서도 1기 내각 구성 완료 후 본격적으로 대책을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내각 인선이 늦어지면서 고위공무원 및 공공기관장 인사 등 후속 인사에 과부하가 걸리고 있다는 내부 평가도 있다. 여론의 비판 대상이었던 ‘격세 증여’의 경우 장모 결정에 홍 후보자가 적극 개입하기 어려웠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한편 청와대는 내년 6월에 임기가 만료되는 이철성 경찰청장을 교체할 의사가 없음을 확인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 청장이 최근 사의를 표명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청장 교체를 고려할만한 특별한 인사 요인이 없다”며 “이 청장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대통령 탄핵사태부터 지금까지 치안관리를 안정적으로 충실히 해왔다”고 설명했다.
강준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