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에서 5.4 규모 지진으로 많은 이재민이 발생한 지 나흘이 지났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아직 현장에 가지 않았다. 청와대에 머물며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포항 현장을 비롯한 전면에서 지진피해 수습을 총괄하고 있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은 왜 포함에 가지 않는 것일까.
청와대 관계자는 19일 “지금은 지진 피해 복구와 함께 수능을 안전하게 치러내는 과제가 더해져 있다”며 “총리를 비롯한 정부가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데, 대통령이 포항에 가면 모든 시선이 대통령에게만 쏠리게 된다. 대통령은 정부의 모든 시선이 온전히 포항시민과 수험생들에게만 향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포항 방문은 적어도 수능이 안전하게 치러진 다음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지난 17일 노컷뉴스는 문 대통령이 포항 현장을 방문해 피해주민을 위로하려다 복구작업에 방해가 될까봐 포항행을 포기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피해 상황보고가 어느 정도 끝나면 즉시 지진 현장을 방문해 주민들을 만나려 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낙연 총리, 김상곤 부총리,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현장에 내려가 상황을 진두지휘하면서 이에 방해가 될까봐 포항행을 접었다는 것이다.
대신 문 대통령은 교육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수능 연기에 따른 수험생 불편 최소화와 대규모 시설 지하에 묻힌 낡은 파이프라인 등에 대한 점검 등을 주문하며 적극 대응을 지시했다. 특히 “상황이 수습될 때까지 관련 공무원은 피해 현장에서 잠을 자면서라도 복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누구보다 현장 상황에 관심이 많다”고 전했다.
김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