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파일]만성 전립선염의 재발을 막기 위한 치료는?

입력 2017-11-17 15:51

손기정 일중한의원 대표 원장

일산에 살고 있는 34세 공무원 H씨는 배뇨 곤란 증상과회음부통증 등이 심해져 비뇨기과를 찾았다가 전립선염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았다. 

하지만,항생제, 진통제 등 약을 1년 넘게 복용해도회음부 통증은 물론 잦은 빈뇨가 지속되고, 밤에는 야간빈뇨 때문에 2~3시간마다 깨다보니 만성피로감까지더해져전립선염 완치가 되지 않을까 불안하기만 하다. 

장기간 항생제를 복용하면 신장과 간에도 좋지 않다는 주변에서의 얘기에 답답하고 걱정도 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건강통계보험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립선염으로 병원에 내원한 환자의 수는 240,630명이고, 그 중 30부터 50대까지가 72,82%를 차지하였다.이처럼전립선염은 성인 남성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비뇨기과 질환 중 하나이다.

밤톨 정도 크기에 무게도 약 20g에 불과하지만, 전립선은 배뇨작용과 성기능에 두루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전립선에 이상이 생길 경우, 빈뇨, 절박뇨, 야간뇨 등 다양한 배뇨장애 증상을 겪게 되며,발기부전과 같은 성기능 장애로 발전하기도 한다. 

급성 세균성전립선염은 항생제로 초기 치료가 간단하지만, 치료가 어려운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 등은치료기간도길어지고, 만성화되면서 불면증, 우울증 등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아, 남성 환자들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전립선염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조기에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치료가 잘되지 않아 만성전립선염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이에 맞는 치료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립선염을 특정 세균감염에 의한 염증성 질환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 비뇨기과를 찾은 환자들을 살펴보면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5%이하로 매우 적은 편이고, 세균이 발견되지 않는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이 90% 가까이를 차지한다. 아예 염증 조차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전립선염을 '전립선염증후군'이라고도 부르며,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만을 따로 떼내어 만성 골반통증증후군으로 칭하기도 한다.

필자가 전립선염 환자 450명을 대상으로 과거 병력을 조사한 적이 있다. 그 결과 306명(68%)이 회음부통증, 고환통증, 하복부통증등의 각종 통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뇨,잔뇨감, 절박뇨 등의 소변증상과 통증이 함께 동반된 경우는 414명(92%)이었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은 환자도 423명(94%)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중 216명(48%)은 수면에도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전립선염의 대부분은 만성전립선염으로 단순 염증질환으로만 생각해서 치료를 받으면 쉽게 잘 낫지 않고 반복하여 재발하게 된다. 

증상 완화를 위한 항생제로는 발병 원인을 개선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남성 비뇨기과 검사와 치료 후 재발이 일어나기 쉽다. 

고환통증, 회음부불쾌감 등의 증상이 남아있다면, 전립선은 물론이고 이와 관련된 내부기관의 기능 회복과 면역력 회복을 도모하는 한방치료가 필요하다. 

한방에서는 청열해독에 효능이 있는 금은화, 패장근 등과 소변에 도움을 주는 택사, 차전자와 같은 한약재를 재료로 한 탕약을 처방하여 전립선염을 치료한다. 환자 상태에 따라 침이나 뜸, 부항 등과 같은 보조치료를 병행하여 치료 효율이 더욱 높아진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