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청와대에서 포항 지진 대응상황을 점검했다. 청와대는 한때 문 대통령이 직접 포항을 방문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이낙연 국무총리가 내려가는 것으로 정리됐다. 이 총리가 정부 대응을 전면에서 지휘하고, 청와대는 상황을 종합 관리하는 일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역할 분담이 이뤄진 것이다. 문 대통령은 19일까지 특별한 외부 일정 없이 청와대에서 현안 점검에 집중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오후 페이스북에 “피해를 입은 포항과 인근 지역 주민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다치신 분들의 쾌유를 기원한다”면서 “정부는 집을 떠나 고생하는 이재민 여러분이 하루빨리 집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진으로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 원전, 공단, 철도 등 국가기반시설도 철저히 점검해 국민 안전에 한 치의 빈틈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에 대해선 “우리 아이들의 안전과 수능의 공정성을 위해 불가피했다”면서 “정부는 이후 입시 일정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철저히 점검하고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수험생들과 학부모님들이 얼마나 당혹스러울지 충분히 짐작한다”면서 “포항과 인근 지역 수험생들의 아픔을 함께 감당해 주셨다. 정말 감사하다”고 했다.
이 총리는 지진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 등 실무 작업을 총괄 지휘했다. 이 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지진 피해와 대처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해 재난안전특별교부세 40억원을 즉각 집행토록 했다. 이어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항공기편으로 포항으로 이동해 포항여고와 대성아파트, 한동대학교, 이재민 임시 대피소인 흥해 실내체육관 등을 둘러보고 피해 주민을 위로했다.
이 총리는 “당장 해야 할 일은 피해 복구와 시민 지원으로 압축된다”면서 “이 두 가지 당면 대응은 중앙에서 지시를 남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현장 우선’ 원칙을 강조하며 “포항시가 우선이 되고 포항시의 의견을 가장 존중하는 식으로 하겠다”면서 “수능 연기 같은 전국적 문제도 포항 의견을 존중했던 것처럼 다른 문제도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글=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