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美서 “어떤 경우도 한국 승인없는 전쟁 안돼”

입력 2017-11-16 09:07

“남북, 긴급통신망 하나 없이 단절”
북핵 문제 美 우선순위된 것 환영”

미국을 방문 중인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5일(현지시각) “어떤 경우에도 한국의 동의 없는 전쟁은 안 된다"고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을 재차 강조했다.

추 대표는 이날 오전 미국 워싱턴 존스 홉킨스 대학 국제관계대학원(SAIS) 한미연구소가 주최한 세미나에 참석해 이같이 말한 뒤, “반드시 평화적으로 (북핵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은 100% 지켜져야 하는 원칙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겠다”고 단언했다.

추 대표는 이날 기조연설문을 통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법을 수차례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김대중, 노무현 정권에서 하나하나 이뤄놓은 남북 신뢰 관계가 이명박, 박근혜 정권에서 산산이 부서졌다”며 “더 심각한 것은 지금의 남북 당국이 최소한의 긴급통신망 하나 없이 철저하게 단절돼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남북의 소통이 완전히 끊어진 상황은 자칫 사소한 오해로도 큰 오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그렇기에 한반도에서 긴장이 고조될수록 대화와 평화의 목소리는 더 높아져야 하며, 상대를 자극하는 아주 사소한 언행도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 대표는 “대한민국은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노력과 인내도 감당할 각오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추 대표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핵 문제 해결을 최우선 순위로 두는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제네바 합의 이후에도 북핵 문제가 제대로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지 못하고, 미국의 주요 이슈가 되지 못한 것은 중동 문제가 미국 정치의 중심에 있었기 때문”이라며 “지금 (북핵 문제가) 가장 큰 과제가 된 것을 대단히 환영한다”고 했다.

추 대표는 김정은 정권이 한국의 대화 제의에 대해 무응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저는 응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에도 미사일을 쏘는 것은 베를린 선언에 이어서 김정은식 응답”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그것은 아마도 내년 정도에 핵과 미사일을 완성하고 미국과 직접 담판을 짓겠다는 고도의 전략이 깔린 것”이라며 “지금 이 상황으로 가면 한반도에서 비대칭 전략 자산에서 북한의 압도적인 우위가 되기 때문에 공포의 균형을 중단하고 공조의 균형으로 나오라는 것”이라고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