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 활동을 ‘정치보복’이라고 비판하는 ‘공항 성명’을 낸 뒤 바레인으로 출국한 이명박 전 대통령이 15일 오전 귀국한다. 검찰 수사의 칼끝이 자신을 향해 조여오는 상황에서 귀국 후 어떤 메시지를 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12일 출국하며 “이것이 과연 개혁이냐, 감정풀이냐, 정치보복이냐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고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이 전 대통령은 바레인에 도착한 이후에도 페이스북을 통해 “(바레인 주재) 외교사절 및 고위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연에서 저는 자원이 부족한 대한민국이 오늘날과 같은 성장을 이룩한 비결은 교육과 국민의 단합된 힘이었다고 강조할 예정”이라며 “여러 분야에서 갈등이 있지만 국민은 우리가 이뤄놓은 이 결과를 훼손시켜서는 안 되겠다는 마음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가지 않는다”며 현 정부의 적폐 청산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최근 장시간 대책회의를 갖고 문재인정부의 적폐청산 활동에 결사항전 의지를 내비쳤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재임 시절 확보했던 정보와 자료를 바탕으로 노무현정부 때의 대북 관련 의혹 등을 전격 공개하며 반격하는 방안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통령의 한 측근은 13일 “우리도 5년을 집권했는데 정보가 없겠느냐”며 “노무현정부 때의 각종 의혹은 현 정부 핵심 세력과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이어 “우리는 아직까지도 현 정부처럼 전 정부의 캐비닛을 들춰 서류를 폭로하는 일을 하고 싶지 않다”면서도 “그러나 현 정부의 정치보복이 계속될 경우 절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압박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적폐청산 작업에 맞서기 위해 보수층 결집을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통령은 바른정당 친이(친이명박)계 정치인들에게 한국당 합류를 권하기도 했다. 이 전 대통령은 지난달 말 정병국 의원, 지난 2일 조해진 전 의원을 각각 만났다. 이 전 대통령은 이들에게 “안보가 위기인 상황에서 야당의 견제 역할이 중요하다”며 “정부가 나라를 잘못 이끄는 것을 막기 위해 제1야당인 한국당으로 옮기는 게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MB좌장으로 알려진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대표는 “(한국당 복당에 대해) 실무적 논의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