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농단 사건 의혹 보도가 한창이었던 지난해 10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개헌 카드를 꺼내든 것은 국면전환용이었다는 정황이 13일 법정에서 공개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33부(재판장 이영훈)심리로 이날 열린 우병우 전 민정수석 재판에서 검찰은 김성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의 진술조서를 공개했다.
김 전 수석의 검찰 진술에 따르면 “당시 박 전 대통령 국회 시정연설에서 개헌 논의를 하자는 얘기가 나왔고 ‘국면전환용이다’라는 얘기가 있었다”고 밝혔다. 또 “당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을 앞둔 주말 이원종 비서실장이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을 불러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개헌 얘기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실제 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24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개헌논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정치권에 헌법 개정을 요청한 바 있다.
김 전 수석은 “박 전 대통령이 국회 연설에서 개헌을 언급한 후 각종 언론에서 개헌에 대해 쫒아가는 상황이어서 다들 신의 한 수였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의 연설이 끝나자마자 그 날 밤 JTBC에서 ‘비선실세’로 알려진 최순실씨가 사용했다는 태블릿PC관련 내용이 보도되면서 개헌 이슈는 묻히고 말았다.
김 전 수석은 검찰에서 “JTBC 보도로 비선실세 의혹에 대한 수습이 불가능한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김 전 수석의 진술조서에 따르면 우 전 수석은 지난해 국회 운영위원회에 증인으로 채택됐을 때 “국회에 나갈 바에야 그냥 그만두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태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