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보복” 발언과 관련해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기자한테 역정을 내고, 측근들은 ‘품격을 생각해 달라’ 했다니 적반하장”이라며 “현직 대통령도 법을 위반하면 처벌받는 세상인데, 전직 대통령도 철저한 수사와 엄정 처벌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고 했다.
안 대표는 “대선 개입 댓글, 블랙리스트,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상 취소 청원 공작 의혹, 국군 사이버사 공작 의혹은 국격을 훼손하고 법질서에 위배된 행동이다. 상식과 품격을 입에 올릴 자격이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같은 당 김동철 원내대표도 이 전 대통령을 ‘적폐의 뿌리’라고 지목하며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뻔뻔함이 갈수록 가관”이라면서 “재임 기간에 민주주의 근간이 무너져내렸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을 총체적 적폐로 물들게 한 장본인 이 전 대통령은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했다. 또 검찰을 향해 “정치 보복이란 빌미를 주지 않도록 공정하고 엄정한 수사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이명박 전 대통령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감정풀이, 정치보복이란 말은 군 정보기관을 사조직, 권력의 하수인, 흥신소 취급한 분이 하실 말씀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면서 “전전 정권의 국기문란 행위를 전 정권이 은폐했다. 촛불혁명과 정권교체 후 멈췄던 사법 정의가 가동되기 시작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추 대표는 또 “권력형 범죄를 영원히 묻어둘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대단한 착각이자 오산”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 전 대통령 측이 혐의가 드러나자 정치보복 프레임을 걸지만 범죄에 대한 응징, 처벌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 전 대통령 관련 의혹은 수사 과정에서 확인된 진술에 의한 것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전직 대통령이라면 자신에게 제기된 의혹에 대해 정정당당하게 해명하면 될 일을 정치보복이라고 하는 것은 스스로를 궁색하게 만드는 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국민들은 4대강, 자원외교, 방위산업을 둘러싼 소위 사자방 비리 진상규명을 적폐청산 작업의 핵심과제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