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광복 이후 70년 넘게 기념해온 ‘한글날’ 지정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2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대종언어연구소 박대종 소장은 최근 행안부에 한글날을 기존 10월 9일에서 9월 30일로 정정해야 한다는 내용의 건의서를 제출했다. 훈민정음의 간행 날짜를 음력에서 양력으로 환산하면서 오류가 생겼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한글날 지정은 1940년 경북 안동에서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에 근거를 두고 있다. 학계는 해례본 65쪽에 적힌 ‘정통 11년 9월 상한’이라는 문구에서 해례본이 완성되거나 간행된 기간을 추측했다. 상한은 한 달의 첫 열흘, 즉 1~10일의 의미다. 따라서 이 문구를 해석하면 1446년 음력 9월 1~10일을 뜻한다
1945년 현재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학회가 상한의 마지막 날인 1446년 음력 9월 10일을 양력으로 환산했고, 10월 9일 지금의 한글날이 탄생했다. 이후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과 함께 5대 국경일로 지정돼 있다.
박 소장은 조선어학회가 1446년 9월 10일을 음력에서 양력으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계산상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조선왕조실록의 음력 역법 기록과 일치하는 중국의 ‘수성천문력’에 근거해 환산했을 때 양력 날짜는 10월 9일이 아닌 9월 30일이 된다. 당시 상한 기간인 9월 1~10일을 모두 양력으로 변환한다 해도 9월 21~30일로 지금의 한글날과는 차이가 크다.
실제로 한국천문연구원 음양력변환계산을 통해 환산해 본 결과 박 소장의 환산 결과와 같은 날짜가 나온다. 당시 서양에서 사용됐던 율리우스력에 따른 결과며, 현재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그레고리력에 따라 바꿔도 한글날은 10월 9일이 아닌 10월 8일이 된다.
박 소장은 “한글의 생일을 바꿔버렸으니 부끄러운 일”이라며 “내년 한글날부터 바로잡아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달라”고 행안부에 요청했다. 권재일 한글학회 회장은 “한글날 지정은 1년 중 단 하루만이라도 우리 말글에 대해 생각해보자는 의미”라며 “정확한 날짜가 아니더라도 오랫동안 굳어진 기념일을 바꾸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문지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