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엘코리아는 여론조사 전문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과 공동으로 지난 달 19~25일 현재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 463명을 대상(임산부 150명, 1년 이내 임신 계획 여성 313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임산부 및 임신 계획 여성 2명 중 1명 영양섭취 소홀… 아침 거르고 운동 잘 안해
실제로 규칙적으로 아침, 점심, 저녁 식사를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문에 한 끼 이상 굶는다고 답한 응답자가 무려 59.3%(275명)에 달했다.
특히 아침을 대부분 거르고 있다는 응답자가 많았는데, 임산부 47.3%(71명), 임신 계획 여성 57.2%(179명)가 아침을 먹지 않고 있었다.
식사를 거르는 이유로는 ‘바빠서 잘 챙겨 먹을 여유가 없어서 54.5%(150명)’가 월등히 높았고, ‘한 두 끼의 식사로도 영양 섭취가 충분한 것 같아서 20%(55명)’, ‘오래된 식습관으로 건강에 문제가 없을 것 같아서 16.7%(46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하루 평균 운동 시간도 조사됐는데, 전체 응답자의 32.8%(152명)는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다’고 밝혀 건강관리에도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 임산부 150명과 임신 계획 여성 313명의 아침식사 결식률)
[그래프] 최소 한 끼 이상 식사를 거르는 임산부 및 임신 계획 여성 275명의 식사를 거르는 이유)
또 임산부 및 3개월 이내로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 중 15.5%(238명 중 37명)는 엽산이 함유된 어떠한 영양제도 복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자의 임신 기간 엽산 권장 섭취량에 대한 인식도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임산부 및 임신 계획 여성 463명을 대상으로 현재 영양제를 통해 섭취하고 있는 엽산 함량 또는 엽산을 섭취하는 않는 경우 알고 있는 엽산 권장 섭취량에 대해 묻는 질문에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36.7%(170명)를 차지했다.
엄마가 임신 사실을 알기 이전부터 태아의 뇌, 두개골, 척추는 자라기 시작한다. 임신 계획 시점부터 엽산 복용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엽산이 부족할 경우 태아의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무뇌증이나 이분척추와 신경관 결손 같은 선천성 기형이 유발될 수 있으며, 태아의 신경관 결손은 유전성을 지닌 모든 선천성 장애의 약 25%를 차지하는 5대 중증 선천성 장애 중 하나다.
임신기간 중에는 비임신 여성의 권장 섭취량 0.4㎎보다 최소 0.2㎎의 엽산이 더 요구된다. 미국예방정책특별위원회(USPSTF)에서는 임신을 계획하거나 임신이 가능한 여성에게 보충제를 통해 1일 0.4~0.8㎎의 엽산을 섭취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임산부의 엽산 복용 시기는 태아 신경관 결손 예방을 목적으로 임신 3개월 전부터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산부 32% 임산부용 영양제 필요성 인지 부족, 식사만으로 영양섭취 어려울 수 있어
바이엘코리아 측은 임산부의 임산부용 영양제 복용 실태도 알아봤다. 그 결과 현재 임산부용 영양제 복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임산부 3명 중 1명(32%)이 복용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해 눈길을 끌었다.
임산부용 영양제를 복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식사만으로 영양섭취가 충분한 것 같아 종합영양제를 따로 복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41.7%, 20명)’를 꼽았으며, ‘임신을 위해 영양제 섭취가 필요한지 잘 몰라서(22.9%, 11명)’를 답한 응답자도 일부 있었다.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원혜성 교수는 이에 대해 “임신 중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게 되면 체중이 정상적으로 증가하지 않아,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임신기에는 영양소 일일 권장 섭취량이 임신 전과 비교해 크게 증가되므로 무엇보다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균형적인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오랜 관념에 의해 임신기 신체활동을 기피하는 사람이 많은데, 적절한 양의 운동은 임신으로 인한 과도한 체중증가를 막고 스트레스나 불안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