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회 연설에서 북한을 향해 “미국을 과소평가하지도, 시험하지도 말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안보에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하면서 “힘의 우위를 통한 평화”를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한‧미 동맹의 굳건한 의지, 북한의 군사적 도발 대응 등을 주제로 연설했다. 영부인 멜라니아 여사도 동석했다. 미국 대통령의 연설은 김영삼정부 시절인 1993년 빌 클린턴으로부터 24년 만에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멜라니아와 나는 한국의 고전적이면서 근대적인 모습에 경외감을 느꼈다. 따뜻한 환대에 감명을 받았다”며 “문재인 대통령 내외는 어젯밤 청와대에서 우리를 극진하게 환대했다”고 첫 국빈방한 소감을 밝혔다.
그러면서 “군사협력 증진과 공정성‧호혜의 원칙에 따른 양국의 통상관계 발전을 놓고 생산적으로 논의했다”며 “방문 일정 내내 한국과 미국의 오랜 우애를 기념할 수 있어 기뻤다. 영광스러웠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미 동맹이 전쟁의 시련 속에서 싹을 틔웠다. 인천상륙작전에서 장병들은 함께 전몰했고 승리했다”며 “자유를 위해 치른 대가를 기억하고 있다. 한국인들의 희생에 감사하다”고 인사했다.
이어 “한 평생이 지나기도 전에 참화를 극복하고 지구상에서 가장 부강한 국가로 성장했다”며 “한국이 그 어떤 나라보다 잘되길 바라고 있다. 우리는 어느 누가 이해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노력을 경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고속성장과 관련한 평가는 자연스럽게 북한 김정은정권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대북 강경론에 연설 시간 대부분을 할애했다. 다만 ‘화염과 분노’와 같은 자극적인 언사는 자제했다. 그는 “한국의 성공은 북한의 불안과 공포의 가장 큰 원인이 됐다. 번영한 한국의 존재 자체가 북한 독재정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힘을 통해 평화를 유지하려 한다”고 강조하면서 “핵잠수함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고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에서 가진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해 “압도적인 힘의 우위로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우리 군의 핵잠수함 보유도 언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폭정과 군사적 도발을 지적하면서 “미국을 과소평가하지도, 시험하지도 말라”고 경고했다. 그는 “북한은 지금까지 약속했던 핵 합의를 어겼다. 핵 참화로 세계를 위협하는 북한 체제를 고립시켜야 한다”며 “신성한 자유 방어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