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작성 ‘로드맵’ 시행 의혹
9일 자정 전후로 구속 여부 결정
이명박 정부 국가정보원의 방송 장악에 결탁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김재철(64) 전 MBC 사장에 대한 구속영장 실질심사가 오는 9일 열린다.
서울중앙지법 강부영 영장전담판사는 9일 오전 10시30분 김 전 사장의 국가정보원법 위반 등 혐의 영장심사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구속 여부는 9일 늦은 밤이나, 10일 새벽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사장은 지난 2011년 국정원 관계자와 협력해 방송 제작에 불법으로 관여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김 전 사장이 국정원 관계자와 공모해 작성한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 문건에 제시된 로드맵을 그대로 받아들였다고 판단했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김 전 사장이 ‘PD수첩’ 등 정부 비판적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제작진·진행자·출연진 교체 및 방영 보류 제작 중단 등을 주도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아울러 검찰은 김 전 사장이 MBC 직원 겸 언론노조 MBC본부 조합원들에 대한 부당한 교육 명령을 내렸다고 보고 노조 운영 개입 혐의도 함께 적용했다.
앞서 검찰은 국정원 개혁위원회의 수사 의뢰를 접수한 뒤 이 사건 수사에 착수, 지난달 30일 김 전 사장을 비롯해 백종문 부사장, 전영배 전 기획조정실장 등 당시 MBC 간부 3명의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했다. 당시 MBC를 담당하던 국정원 직원, 방송문화진흥회 사무실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한편 김 전 사장은 지난 6일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다음날 새벽까지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바 있다.
당시 김 전 사장은 출석 과정에서 “MBC는 방송장악을 할 수 없는 회사”라며 “사장으로 재임하면서 국정원이나 청와대와 교감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