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농단’ 주역이 전병헌이라고 폭로한 여명숙 영상 재조명

입력 2017-11-08 07:01
사진=방송화면 캡처

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의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에 대한 폭탄 발언이 재조명 되고 있다. 전 수석이 의원시절 보좌진으로 있던 2명이 금품 수수 혐의로 검찰에 체포됐기 때문이다.



여명숙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종합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전 수석의 친척과 지인, 그 친척이 속한 게임 언론사, 전 수석의 고향 후배를 자처하는 게임판의 김모 교수가 게임판을 농단하는 기둥”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달 19일 사행성 게임 규제를 방해하는 세력이 있으냐는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여 위원장은 “구체적으로 말하진 못하지만 모 정치인의 친척을 빙자한 사람과 그의 지인들”이라고 답했다. 이후 야당 의원들의 추궁이 이어졌고 여 위원장은 30일 종합 감사에서 전병헌 수석의 실명을 거론했다.

이에 전 수석은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여 위원장을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전 수석은 “여 위원장이 국감장에서 윤모 전 비서관이 고소인과 친인척 관계이고 게임 언론사에 근무했다고 주장했지만 모두 허위사실”이라며 “고소인은 김 교수와 전혀 일면식도 없는 관계”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 1부는 전 수석이 회장을 맡았던 마포 상암동 한국 e스포츠협회 사무실과 전 수석이 국회의원 시절 비서관으로 일했던 윤모씨의 자택을 압수수색하고 전직 비서관 윤씨와 김씨, 브로커 배씨를 뇌물 수수 혐의로 긴급체포했다.

검찰은 전 수석이 민주당 의원시절인 2015년 e스포츠협회가 롯데홈쇼핑 측으로부터 받은 3억 원대의 후원금을 받고 그 중 1억1000만원을 빼돌린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한국 e스포츠협회와 브로커 배씨 사이에 실제 거래가 있었던 것처럼 꾸민 뒤 허위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수법으로 후원금을 가로챈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검찰은 또 후원금 3억 원의 사용 출처와 빼돌린 자금 1억1000만원이 전병헌 수석 쪽으로 흘렀는지 등을 조사 중이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