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국제개별화의료학회가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면역치료에 대해 암은 물론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까지 치료 영역이 다양해졌다고 밝혔다.
일본 국제개별화의료학회 지난달 28일 도쿄에서 ‘암과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에 도전하는 면역치료의 최전선’을 주제로 제23회 국제개별화의료학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아베종양내과의 아베 히로유키 박사는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도 개개인에 맞는 분자적치료제를 개발하여 투여방법과 시기를 결정한다면 의료비의 과다지출과 치료제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베 박사는 이어 “다양한 임상 결과가 이어지면서 면역세포치료는 제4의 암치료 방법으로 불린다”면서 아베종양내과 연구팀이 난치성 비소세포 폐암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임상한 수지상세포 암백신 치료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표준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들이다.
림프절에 피하 주사한 방식으로 수지상세포 암백신 치료를 2주 간격으로 5회 치료한 결과 22명 중 15명(68.2%)에서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아베 박사에 따르면 완전관해 2명(9.1%), 부분관해 3명(13.6%), 장기불변 10명(45.5%) 등으로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소량채혈(25㎖)만으로 수지상세포 암 백신치료를 가능하게 했다. 혈액에서 단구를 분리한 후 미성숙된 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키고 개인별 조직적합성 검사부터 유전자, 항원, 암표지자 검사까지 거친 후 개인에 맞는 암항원을 평균 5종류 추가하여 치료했다. 추가 암항원은 NEW WT1, MUC1, CEA-1, GV1001, Survivin 등이다.
아베 박사는 “치료효과가 있는 그룹의 생존일은 1000일 이상, 치료효과가 없는 그룹은 388.5일로 나타났다”며 “치료 2주일 후 효과가 있는 그룹에서는 항증식 작용과 면역조절을 하는 인터페론-감마와 면역조절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하는 인터루킨-4가 검사결과 정상범위로 회복됐다”고 전했다.
아베 박사 연구팀의 수지상세포 암 백신 연구에 국내기업 ㈜선진바이오텍도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전재우 기자
日 국제개별화의료학회, 면역치료 암·자가면역질환 등 치료영역 넓어
입력 2017-11-07 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