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통합파’ 의원 9명이 6일 탈당해 자유한국당에 입당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바른정당은 지난 1월 24일 창당한 지 10개월 만에 분당 사태를 맞게 됐다.
김무성 의원과 주호영 원내대표 등 통합파 의원 9명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통합성명서’를 통해 “우리는 오늘 바른정당을 떠나 보수대통합의 길로 먼저 가겠다”며 “문재인정부의 포퓰리즘 폭주와 안보위기 심화를 막아내기 위해 모든 보수세력이 하나 되는 대통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탈당에는 김 의원과 주 원내대표를 포함해 강길부·김영우·김용태·이종구·정양석·홍철호·황영철 의원이 동참했다.
이들은 “보수세력은 지난해 헌정 사상 초유의 국정농단 사태를 미연에 막지못한 잘못으로 국민의 엄중한 심판을 받고 정권을 내주고 말았다”며 “대한민국의 오늘을 만든 모든 성취와 영광까지 비판받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또 “헌정 중단이 우려되는 엄중한 국가 위기 상황에서 보수 개혁의 기치를 내걸고 바른정당을 창당했고, 새로운 보수의 구심점이 되고자 노력했다”면서 “그러나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지 못했다. 그 결과 우리에게는 보수 분열의 책임만 남았다”고 말했다.
이들은 문재인정부의 실정을 막기 위해 보수대통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의원들은 “문재인정부는 대한민국을 혼돈과 나락으로 이끌고 있다”며 “외교안보전략 부재 속에 북핵과 미사일 위협 앞에서도 독사 같은 김정은정권에 대화를 구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경제정책은 과도한 포퓰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비”라며 “비판과 비난에만 익숙했던 진짜 같은 가짜, 사이비 경제학자들이 경제정책의 수장이 돼 경제 근간을 훼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과거에 발목이 잡혀서는 한 발자국도 미래로 나갈 수 없다”며 “문재인정부의 포퓰리즘 폭주와 안보위기 속에서 이제 보수대통합은 피할 수 없는 역사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통합파 의원들은 오는 8일 바른정당에 탈당계를 제출하고, 한국당에 합류할 계획이다. 뜻을 함께하는 원외 지역위원장 40~50명도 동반 탈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정당이 분당함에 따라 국회 지형도도 바뀔 전망이다. 107석인 한국당은 통합파 의원 9명의 입당이 완료되면 116석을 확보해 더불어민주당(121석)을 압박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반면 쪼개진 바른정당은 원내교섭단체 지위를 잃고 소수당으로 전락할 전망이다. 국회도 ‘4당 체제’에서 민주당·한국당·국민의당의 ‘3당 체제’로 재편된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