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재단, 1980년 행불자 찾기 위한 옛 광주교도소 암매장 추정지 발굴 착수

입력 2017-11-03 15:14 수정 2017-11-03 15:29
5‧18기념재단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를 찾기 위한 옛 광주교도소 암매장 추정지 발굴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옛 광주교도소 시설물과 토지를 소유한 법무부가 발굴 작업을 승인한 데 따른 것이다.

법무부는 “5‧18기념재단이 유해발굴에 필요한 전문성을 확보했다고 판단된다”며 “안전장비와 안전교육, 가스배관 시설 제거 등 안전조치가 전제돼 발굴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18재단과 5월 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이날 장비배치 등 후속작업에 들어갔다. 1980년 당시 3공수여단 등 계엄군이 주둔한 옛 교도소에 대한 암매장 발굴은 37년 만에 처음이다.

5‧18재단 등은 그동안 유력한 암매장 장소로 추정해온 광주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재소자 농장 터에서 5․18 행불자 유해 발굴을 시작했다.

5‧18재단 등은 장비 배치에 이어 암매장 추정지에서 흙 표면을 덮은 콘크리트, 아스팔트, 잡초 등 각종 장애물을 오는 5일까지 제거하기로 했다.

 장애물 제거가 끝나면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발굴 작업을 벌인다. 재단 측은 오는 6일 오후 현장브리핑을 열어 자세한 계획과 일정을 언론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발굴작업은 고고학 분야 전문가인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이 총괄한다. 문화재 출토 분야 전문 민간단체인 대한문화재연구원이 발굴실무를 맡는다.

5‧18재단 관계자는 “발굴 계획과 착수 시기 등에 관한 사전준비를 마치고 법무부 협의를 거쳐 본격 작업에 들어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맞춰 박상기 법무부 장관은 이날 오후 4시쯤 옛 교도소 암매장 추정지 현장을 방문했다.

앞서 5‧18재단과 옛 교도소 부지를 소유한 법무부는 행불자 유해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5‧18재단은 유해가 발견되면 광주지방검찰청에 수사할 의뢰할 방침이다. 이 경우 발굴주체는 검찰로 전환된다.

5‧18재단은 광주지검과 유해수습, 신원확인 주체, 작업지속 여부를 협의 중이다.

5월 단체들은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 지휘관이 작성한 약도 등 검찰 수사기록과 1980년 5월 광주교도소 수용자 제보 등을 토대로 그동안 재소자 농장터를 암매장지로 지목해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