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입력 2017-10-31 14:36
대구시는 유네스코본부가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최종 등재할 것을 결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은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중 하나인 국채보상기성회 취지서(대한매일신보 449호)다. (사진=대구시 제공)

31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조선왕실 어보(御寶)와 어책(御冊)’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통신사 기록물’이 새롭게 등재됐다.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3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는 최종 심사를 통과한 기록유산들을 등재할 것을 유네스코에 권고했으며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수용으로 해당 문화재들은 등재를 확정했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대구에서 서상돈의 주도로 시작됐다. 1904년 일제는 대한제국 정부의 각 부에 고문을 설치해 이른바 ‘고문(顧問)정치’를 시작했다. 그리고 경제를 파탄시키기 위해 일본으로부터 차관(借款·다른 나라 공용기관이나 민간으로부터 자금 융통)을 도입하게 만들었다. 이에 1907년 정부가 짊어진 외채는 총 1300만 원이 되면서 상환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1907년 2월 서상돈은 김광제 ·박해령 등과 국채보상 모금을 위한 국민대회를 열고, ‘국채지원금수합사무소’를 설치해 활동했다. 서울에서도 김성희·유문상 등이 ‘국채보상기성회’를 설치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제국신문’ ‘만세보’ 등 각종 신문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졌다. 

그러나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일제는 국채보상기성회 간사 양기탁에게 횡령 누명을 씌워 구속하는 등 탄압을 이어갔고, 결국 1년 만에 운동은 중단됐다. 이번에 등재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이러한 국채보상운동의 전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물이다.

이소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