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문제로 냉랭한 관계를 이어오던 한국과 중국이 정상회담 등 관계 개선에 합의했다. 이를 위해 양국 최고위 책임자들이 지난 7월부터 계속 물밑접촉을 해왔고, 한국 측은 이로 인해 불필요한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미국과도 긴밀히 연락하며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31일 오전 10시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다음달 베트남 다낭에서 열리는 APEC을 계기로 한·중정상회담을 갖는다고 발표했다. 같은 시간 외교부는 홈페이지에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간 협의 결과문’을 중국 정부와 동시에 올렸다.
이 배경에는 양국의 오랜 물밑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사드 관련 (한·중) 협상은 영유권 분쟁이나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 공동으로 추구하고 있는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해 장애가 되는 사드 문제를 서로에게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갖고 협상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7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한·중이) 정상회담을 가진 후 관계 개선에 합의하고, 외교 당국 차원에서 수차례 물밑교섭을 해 왔다”고 밝혔다. 관계 개선이 갑작스런 중국의 태도 변화로 인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양국이 접촉하면서 외교적 노력을 기울인 성과라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이 과정에서 미국과도 긴밀히 협의했다고 밝혔다. 한·중 관계 개선이 자칫 한·미 동맹 관계에 불필요한 우려나 마찰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재인정부와 박근혜정부를 비교하기도 했다. 문재인정부는 이전 정부와는 달리 중국의 신뢰를 얻었다는 것이다. 그는 “협상 과정에서 중국은 누차 ‘문재인정부는 신뢰할 만하다’고 말했다”며 “원칙적인 대응을 하는 모습이 박근혜정부와 다르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교부 교섭 단계에서 중국이 우리 정부 입장을 진솔하게 전달하고 그런 것들이 쌓여 중국과 합의에 이르렀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관계 개선 합의 후 중국으로부터 어떤 조치가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협의 단계부터 시작해 한·중 통화스와프 등 일련의 과정에서 중국이 눈에 보이는 조치에 들어갔다”며 “중국의 정책은 ‘무쇠솥’ 같아 천천히 이뤄지겠지만 적극적으로 조치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