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교류협력이 공동이익, 정상궤도로” 사드갈등 풀었다

입력 2017-10-31 10:15 수정 2017-10-31 10:17

한국과 중국이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키기로 합의했다고 외교부가 31일 밝혔다. 사드(THAAD) 배치에 따른 갈등 국면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해빙 무드’가 시작된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양측은 한·중 관계를 매우 중시하며 양측 간 공동문서들의 정신에 따라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발전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며 “한·중 간 교류협력 강화가 양측의 공동 이익에 부합된다는데 공감하고,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과 콩쉬안유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가 협의를 통해 이런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다. 

한·중 양국은 사드 배치와 관련해서는 양측의 입장 차에도 불구하고 군사당국간 채널을 통해 소통 노력을 기울이기로 합의했다. 한국은 중국에 “사드 체계는 본래 배치 목적에 따라 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며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을 해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중국 측은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를 반대한다”며 “한국 측이 관련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해달라”고 요청했다. 

중국 측은 미국의 미사일방어(MD)체제, 사드 추가 배치, 한·미·일 군사협력 등에 대한 우려도 드러냈다. 이에 대해 한국은 MD체제에 참여하지 않고, 사드 추가 배치 계획이 없으며, 한·미·일 3국의 군사협력이 군사동맹으로 발전하지 않을 것이라는 이른바 ‘3불(不)’ 약속을 중국 측에 설명했다.  

양국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도 재확인했다. 또 모든 외교적 수단을 통해 북핵문제 해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덧붙였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