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엔 일주일, 10월엔 나흘만에 복귀…한국당의 ‘빈손 보이콧’

입력 2017-10-30 11:31

자유한국당이 30일 국정감사 보이콧 방침을 철회하고 국감장에 복귀했다. 지난 26일 방송통신위원회가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보궐이사 선임을 강행하자 보이콧을 선언한 지 나흘만이다. 한국당은 이날 국회 의원총회를 열고 이 같이 결정했다고 정우택 원내대표가 밝혔다.

정 원내대표는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보이콧은) 야당으로서는 방송장악 음모에 대한 최소한의 수단이었다”며 “국감을 재개하고 대여투쟁 강도를 높여가는 것에 대해 의원들의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어 “방송장악으로 가는 과정에서 KBS사장과 MBC사장 교체가 이뤄진다면 국민들께서도 왜 그 당시 국감을 중단했는지 한국당에 대한 이해도와 인지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당은 대여투쟁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의총 직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문재인정부의 안보무능과 공영방송 장악 시도 규탄 행사를 개최했다. 남성 의원은 검은색 넥타이를 메고, 여성 의원은 검은색 옷을 입는 식으로 ‘공영방송 사망’에 대한 항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한국당의 이른 국감 복귀는 보이콧 장기화가 자칫 ‘한국당 패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30~31일 종합감사를 끝으로 마무리되는 국감 이후 11월부터 있을 ‘예산 국회’와 이진성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등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야당의 존재감을 드러내야 한다는 현실적 고민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 1일 문재인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과 8일 있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회 연설을 앞두고 국회 보이콧을 계속하는 것은 실익이 없다는 판단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한국당이 나흘만에 국회 보이콧 방침을 철회하면서 제1야당이 국회 일정 불참을 선언했다가 복귀를 반복하는 행태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다. 앞서 한국당은 지난달 2일에도 김장겸 MBC 사장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를 계기로 정기국회 보이콧을 선언했다. 하지만 다음날 북한이 6차 핵실험을 실시하는 등 국가안보위기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제1야당으로서의 책무를 저버렸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고심하던 한국당은 주말 대국민 보고대회 형식의 장외집회를 개최한 뒤 지난달 9일 국회로 복귀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