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후 다스로 다시 입금된 120억원…비자금 의혹 문건 공개한 심상정

입력 2017-10-28 06:25
사진=JTBC캡처(좌), 뉴시스(우)

이명박 전 대통령의 실소유 의혹 논란이 제기된 ‘다스’가 다수의 개인 차명계좌를 이용해 120억 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중무위원회 소속 정의당 심상정 의원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그동안 제보 받은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08년 이명박 특검 당시 정호영 특검팀이 덮은 120억원 규모의 비자금 실체가 나왔다”며 관련 문건을 공개했다.

심 의원이 공개한 문건은 ‘개인계좌 정리 현황'으로 2008년 2~3월 개인명의 예금을 모두 다스에 옮겼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7명이 3~4개씩 총 43개 계좌를 갖고 있다.

또 다른 내부 문건으로 추정되는 ‘회수자금 입금 내역’에는 다스가 비자금을 어떻게 관리했는지 담겨 있다. 회사로 비자금을 끌어 들이면서 회계 장부상에는 다스 미국 법인으로부터 돈을 돌려받는 형식을 취한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된다.

이렇게 회사로 들어온 자금은 약 125억원으로 계인계좌 정리 현황 문건의 액수과 비슷하다. 실제 다스가 공시한 2008년 회계감사보고서와 비교해도 수치가 거의 일치한다. 당시는 이명박 전 대통령 관련 의혹을 수사한 정호영 특검팀의 활동이 진행되거나 마무리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이 돈은 다스의 미국법인으로부터 외상값(매출채권)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회계 처리가 돼 다시 유입됐다”며 “종합하면 정호영 특검이 이 비자금을 확인했고 당시 대통령 당선인인 MB측이 더는 수사하지 않도록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검찰 수사로 다스 비자금의 실체를 다시 밝혀야 한다”고 주장한 심 의원은 “다스가 누구 것인지 밝히라는 국민적 요구에 따라 19.9%의 지분을 가진 캠코도 실제 주인을 밝히는데 의무와 책임을 갖고 열람권을 활용해 조사해보라”고 주문했다.

이에 문창용 캠코 사장은 “검찰이나 법 집행기관에 자료요청이 있으면 심사를 통해 자료를 제공하겠다”고 답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