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의 가계대출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비율도 높아 가계부실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추경호(대구 달성군) 의원이 공개한 한국은행의 지난 10년간 각 시·도별 대출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예금은행기관과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대구지역 가계대출 잔액은 올해 7월말 현재 총 39조 8779억원이며 이 중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총 잔액의 65%인 26조 194억원, 신용 등 기타대출은 13조 8586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1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가계대출 잔액이 17조 1953억원 증가하면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급속한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의 가계대출 잔액 증가분 중 67.5%인 11조 6018억원이 주택담보대출인 것으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다중채무자 비중이 상승하면서 또 다른 리스크 요인도 잠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올해 1월 발표한 ‘대구지역 가계대출의 현황 및 평가’ 자료에 따르면 대구지역 다중채무자의 대출규모가 지역 내 대출의 30.7%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채무자의 대출비중이 상승(2012년 29.4%→2016년 30.7%)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 의원은 “대구지역의 전반적인 가계대출 흐름이 가계부실이 커지는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이 현실화되고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억제 정책으로 주택가격이 하락할 경우 가계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기타대출이 급증하는 것은 자칫 가계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한국은행을 비롯한 관계기관들은 감독을 보다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뉴시스